재난 대응·치안 관리 등 공공서비스 실증모델 구축

[로컬세계 = 박세환 기자] 대구시는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2025년 도심항공교통(UAM) 지역시범사업 준비지원’ 공모에서 경상북도와 함께 최종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대구시는 미래항공산업 중심지 도약의 기반을 마련했다.
국토부는 교통형·관광형·공공형 등 활용 유형을 제시하고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했다. 7개 지역이 신청해 서면·현장·발표평가를 거친 결과 대구·경북 컨소시엄이 우수한 사업계획과 입지 전략을 인정받아 최종 지원 대상으로 확정됐다.
대구시는 총 10억 원의 국비를 지원받아 사업계획 수립과 버티포트(Vertiport) 기본계획 및 설계에 활용한다. 특히 ‘공공서비스 연계형 광역 UAM 시범모델’을 제안해 대구 달성군과 도심, 경북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도로 기반 버티포트 입지 적정성과 산불 감시·재난구호·교통·치안 등 공공 수요 모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 한국도로공사, 경찰청, 항공운항 사업자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학연 클러스터 기반의 기술지원 전략을 제시해 실현 가능성과 실증 역량에서도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대구시는 올해 하반기 사업계획 수립에 착수해 2026년까지 기본계획과 설계를 완료하고 국토부에 지역시범운용 구역 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다. 이후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왜관IC김천구미역을 잇는 약 96km 고속도로 기반 노선에서 시범운영을 본격화한다.
대구시는 재난 예방과 구호, 응급조치, 교통 관리, 공중 순찰 등 미래형 첨단 재난안전시스템을 구축해 초기 수용성을 확보하고, 안정성과 신뢰성을 검증해 조기 상용화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로컬세계 / 박세환 기자 psh784@daum.net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