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듀오피부과 홍남수 원장(전문의, 의학박사) |
보통 초겨울 날씨에는 대기가 건조하고 낮은 기온으로 추위를 느끼는 날들이 지속되지만 최근의 날들은 한 낮에는 봄의 날씨를 연상시킬 정도로 일교차가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런 날들이 지속되면서 낮에는 더워서 땀을 흘리면서 진균이 활동하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 지면서 무좀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무좀은 흔히 찾아볼 수 있는 피부질환으로 진균인 피부사상균이 피부 각질층에 감염되는 나타나는 표재성 감염인 백선증이 발에 생기는 것을 말한다. 백선증은 발에 나타나는 것 이외에도 머리, 몸, 사타구니, 손발톱, 얼굴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진균은 보통 22℃~27℃ 정도의 온도에서 성장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여름 날씨와 같은 고온 다습한 환경은 진균이 성장하기에 적합한 기후 조건이 된다.
따라서 과거에는 겨울철에는 무좀의 원인이 되는 진균의 활동력이 약해져 무좀에 대한 걱정을 많이 하지 않았지만 근래에는 실내 환경이 좋아지면서 겨울철에도 무좀 증상이 약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무좀이 완치될 때까지 꾸준하게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해졌다.
발 무좀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방치할 경우 타인뿐 아니라 자신에게도 더 큰 고통을 야기할 수 있어 무좀이 생겼다면 전문의 진료 후 진균이 완치될 때까지 꾸준하게 치료를 받아야 한다. 발 무좀을 방치하여 발톱 무좀으로 전이될 경우 발톱의 변형을 유발하여 살 속으로 발톱이 파고드는 내향성 발톱의 원인이 된다. 내향성발톱은 증상이 심할 경우 염증과 통증 때문에 걷기 힘들어 일상생활에서 많은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무좀이 의심이 될 경우 피부과에 방문해서 KOH도말검사를 통해 진균 유무를 확인한 후 처방에 의한 치료를 받으면 된다. 일반적으로 진균제를 복용하면서 바르는 약을 도포하는 것이 보통이다. 무좀 치료 중에는 손발을 깨끗하게 하고, 습기가 차지 않도록 통풍이 잘 되는 신발을 신어야 한다.
또, 젖은 신발의 경우 곰팡이가 증식되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 신발을 선택할 때 발의 편안함과 함께 땀을 잘 배출할 수 있는 신발을 신는 것도 좋다.
무좀이 발톱으로 전이된 경우에도 진균제를 복용해서 치료를 해야 하지만 약을 복용하지 못하는 환자들의 경우 바르는 진균제로만 치료를 하기 어려워 대체 치료요법으로 발톱무좀 치료 레이저를 사용할 수 있다.
발톱무좀 치료 레이저인 핀포인트 레이저는 조갑판 아래 피부층에 숨어 있는 진균까지 마이크로 펄스 방식으로 열을 전달시켜 진균을 파괴하거나 성장을 멈추게해 사멸시켜 발톱 무좀을 치료할 수 있다. 1회의 치료만으로도 50% 정도의 치료효과를 보여 주지만 진균 치료의 경우 완치가 될 때까지 치료를 하지 않으면 다시 재발하기가 쉬워 1달 간격으로 5~6회 이상 꾸준하게 치료를 받으면서 진균제를 도포하면 좋을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듀오피부과 홍남수 원장은 “무좀은 본인 뿐 아니라 타인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꼭 치료를 받는 것이 좋으며 겨울철에 가려움증이 덜하다고 치료를 포기하지 말고 진균이 깨끗하게 사라질 때까지 무좀 치료를 받아야 한다”며 "임의적으로 치료를 끝내지 말고 전문의의 완치 판명이 날 때까지 꾸준하게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컬세계 조원익 기자]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