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이서은 기자] 경직된 관료조직에서 벗어나 기관운영의 자율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운영되고 있는 책임운영기관이 49개로 대폭 확대된다.
행정자치부·통일부·국토교통부 등 9개 부처는 정부통합전산센터, 통일교육원, 항공교통센터 등 업무의 전문성·독립성이 높은 10개 기관을 책임운영기관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책임운영기관으로 전환한다고 오늘(18일) 밝혔다.
이번 책임운영기관 확대는 민간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정부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조직혁신 차원에서 추진되는 것이다.
특히 정부통합전산센터·국방전산정보원 등 정보통신기술(ICT) 전문기관이 처음으로 책임운영기관화 되면서, 기관장 및 직원 외부채용을 확대해 급변하는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 대응하는 전문기관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세·고용 관련 상담업무를 주로 하는 국세청 고객만족센터 및 고용부 고객상담센터는 책임운영기관 전환을 통해, 공급자가 아닌 국민 중심의 서비스를 더욱 확대할 전망이다.
통일교육원, 관세국경관리연수원, 해양수산인재개발원도 이번 책임운영기관 지정을 계기로, 단순 공무원 교육훈련기관이 아닌 각 급 학교, 중소기업, 어민 등 국민 눈높이에 맞는 교육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항공기 및 선박의 안전운항을 담당하는 항공교통센터 및 국립해양측위정보원의 경우, 긴급 상황 발생 시 전문성 있는 기관장의 신속하고 자율적 결정으로 현장중심의 책임행정을 적극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이미 책임운영기관으로 운영하는 국립문화재연구소와 함께 해양유물 조사·발굴·보전이라는 전문 연구기관으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전환되는 10개 기관들은 연내 ‘책임운영기관의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을 통해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기관장 외부임용 등을 거쳐 내년 3월에 출범할 예정이다.
정종섭 행자부 장관은 “책임운영기관이 정부3.0 조직혁신의 바람직한 모델로 자리 잡은 만큼, 이번 확대로 정부경쟁력이 높아지고 국민들께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