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 발생 예방 위해 유럽·중국처럼 반드시 전면 금지돼야
|  | 
| ▲한돈농가 비영리단체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는 지난 24일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일민미술관 앞 광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국내유입 차단에 대한 국민협조를 구하고, 한돈농가를 응원해달라는 의미를 담아 한돈 할인판매를 진행했다. 한돈자조금 하태식 위원장(왼쪽)이 시민들에게 삼겹살을 주고 있다.(사진=한돈자조금 제공) | 
아울러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 예방 위해 음식물류 폐기물 급여가 전면 금지를 촉구했다.
앞서 지난 24일 KBS 뉴스9 ‘농가 3곳 때문에 잔반 사용 금지?...양돈농가 반발’에 따르면 환경부는 “잔반을 80℃에서 30분간 끓이면 문제가 없는데, 현장조사 결과 이 기준을 지키지 않은 농가가 3곳 때문에 잔반 사용에 제한을 할 것”이라 보도했다.
한돈협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이미 국제기구는 중국 다음으로 북한과 우리나라를 이미 ASF 확산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지목했다”며 “벌써 우리의 공항만에서 중국에서 입국한 여행객이 휴대한 돈육 가공품에서 ASF 바이러스 유전자가 확인된 것만 17차례가 넘었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내한한 국제수역기구(OIE)의 ASF 연구소장인 산체스 박사 역시 ASF 전염을 막기 위한 첫 번째 과제는 ASF 바이러스에 오염된 축산물, 잔반급여를 막는 것에서 시작돼야 한다”며 “이미 유럽에서는 20년전부터 전면금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돈협회는 “단 하나의 가능성이 있더라도 반드시 막아야 한다. 소 잃고 외양간을 고치기에는 ASF 발생으로 치뤄야 하는 사회적 비용과 고통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며 “이러한 이유에서 돼지에 대한 잔반 급여는 반드시 전면 금지돼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어 한돈협회는 “‘만의 하나’의 무사안일한 태도에 아차 하는 순간에 대한민국 한돈산업이 무너진다면 누가 책임질 것인가. 정부는 책임 있는 자세로 돼지에 음식물 폐기물 급여를 전면금지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