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지털 복원된 성덕대왕신종. |
[로컬세계 박세환 기자] 국립대구과학관은 지난 13일 사이언스 광장에서 과학관이 자체 연구개발한 기관 상징 전시물인 디지털 성덕대왕신종 준공식을 가졌다.
디지털 성덕대왕신종은 대구과학관의 ‘지역 문화재 과학적 복원’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탄생했다. 국보 제29호이자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는 성덕대왕신종은 현존하는 가장 큰 종이다.
대구과학관은 이번 신규 전시물을 통해 성덕대왕신종의 과학적 우수성을 증명하고, 현대 과학기술인 디지털로 재현해냈다. 또한 국립경주박물관과의 협업으로 신종의 대표적인 과학적 우수성인 아름답고 웅장한 원음의 소리, ‘맥놀이 현상’을 표현했다.
가로.세로 15m, 높이 8m의 종각과 높이 4m인 종의 규모를 자랑하는 디지털 성덕대왕신종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50여만 개의 ‘LED 곡면 디스플레이’이다. 종의 몸통 전체를 둘러싼 LED는 신종의 아름다운 울림인 ‘맥놀이 현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해 ‘소리가 보이는 디지털 전시품’으로 재탄생시켰다.
강신원 관장은 “과학은 기술에만 머무르기보다 사람들의 가슴속에 커다란 영감을 줄 때 대중성을 가질 수 있다”며 “지역의 우수한 국보급 문화재들의 과학적 우수성을 증명하고 기술로 재창조해 국민들에게 다가가는 과학대중화 선두 기관이 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