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종 품목 중복·연령 제한이 참여 저조 원인
[로컬세계 = 전경해 기자]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엄윤순 농림수산위원장은 25일 열린 해양수산국 내년도 예산안 예비심사에서 여성어업인 주요 질환 예방접종지원사업의 낮은 집행률을 지적하며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엄 위원장이 강원자치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해당 사업의 도비 교부액 1천428만원 중 지난 10월 말 기준 339만4천원(24%)만 집행됐다. 불용액은 전체의 76%에 이르는 1천88만6천원으로, 사업 호응도가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사업은 어촌지역 여성어업인을 대상으로 대상포진·폐렴·파상풍·A형 감염·인플루엔자·백일해 중 1개 질환 예방접종을 지원하는 정책으로, 도비 21%, 시·군비 49%, 자부담 30% 매칭 방식으로 운영된다.
그러나 지원 연령을 20~64세로 제한한 점이 수요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특히 대상포진 예방접종의 경우 다수 지자체가 65세 이상 주민을 대상으로 자체 지원을 진행하며 사업 목적과 대상이 중복되는 상황도 문제로 꼽혔다.
강원자치도는 참여 저조가 지속되자 내년도 당초 예산을 올해보다 39.5%(564만1천원) 줄인 863만9천원으로 편성했다.
엄 위원장은 “예산이 제때 집행돼야 도민에게 돌아가고 강원이 살기 좋은 특별자치도가 된다”며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는 어촌 특성을 고려해 연령 제한을 전면 재검토하고, 접종 질환도 다양화해 시·군 사업과의 중복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컬세계 / 전경해 기자 dejavu0057@gmail.com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