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광 고려대 명예교수가 16일 프레스센터에서 조선시대 ‘월인석보’ 편찬에 대해서 발표를 하고 있다. |
사단법인 동아시아 문화유산 보존관리협회는 국보적 가치를 지닌 대한민국의 문화유산인 월인석보 옥책 전 12권을 최초로 공개하는 전시와 학술행사를 지난 16일 한국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했다.
월인석보(月印釋譜)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하여 1459년에 간행한 목판본 불교 서적이다. 초간본 10권 8 책과 중간본 4권 4 책이 보물 제745호로 지정되었으며 초간본 2권 2 책이 보물 제935호로 지정돼 있다.
이날 공개된 월인석보 옥책 전 12권(券)은 수작업으로 옥 조각을 엮어 만든 총 364개의 옥편(玉片)에 각수된 것으로 옥봉 24개와 함께 고대 방법으로 제작된 것으로 판명되었고 옥편의 크기는 가로 4.5㎝, 세로 28㎝, 두께 0.8㎝이다.
우리나라 서지학계 원로인 정광 고려대 명예교수는 조선 세조 때 편찬된 것으로 알려진 보물 제745호 월인석보가 정통 12년 즉 세종 29년(1447년)의 제작연대 추정의 월인석보 옥책이 발견됨으로 학계가 크게 동요될 소지가 있다고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그 외 미술사학자 이재준 한국역사유적연구원 고문, 첨단과학감정원 권명한 원장의 강연이 이어졌다.
이번 전시회 및 세미나는 '월인석보 구권 신편' 그리고 옥책 '옥책 공양경 월인석보 고찰' '물의 과학적인 측정 방법' 등의 연구를 통해 월인석보에 대한 잘못된 모든 기록을 바로잡고 올바른 역사를 후세에 전하자는 주장과 자랑스러운 우리의 세계적 문화유산에 대한 긍지를 불러일으키는데 목적이 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