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인 공동대표 "최소 4000만~5000만원 빈다" 경찰에 진정
"감사 거부, 회계장부 없다, 고발하려면 하라" 배짱
상인회장 "상인들에게 수차례 분배, 단체관광·운영비로 사용, 잔액은 이주 때 정산하려 했다"
![]() |
| ▲감만시장 내 한 영세 식료품가게 앞에 진열된 채소류 다발에 미나리 2000원, 노지정구지 2000원 등의 가격표가 붙어 있다. |
부산 남구의 한 전통시장 상인회장이 대형마트로부터 받은 억대의 피해보상금(위로금) 중 수천만원을 횡령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피해 상인들은 이달 초순 횡령 의혹에 대한 진정서를 작성, 관할 남부경찰서에 접수했다.
17일 진정인 공동대표와 진정서에 따르면 감만시장상인회 회장 P씨는 2006년 하반기에 감만점을 신축하려는 홈플러스 측으로부터 ‘전통시장 소상인 피해보상금(위로금)’ 명목으로 1억 4000만원을 받아냈다.
P씨는 이 피해보상금을 자신의 개인 농협 계좌에 입금했다.
P씨는 그후 2006년, 2008년, 2018년 3월경 등 3차례에 걸쳐 80명 정도의 상인들에게 8000만원 안팎의 돈을 분배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진정 공동대표 조모(61·감만시장상인회 감사)씨는 설명했다.
P씨는 또 피해보상금 중 1000여만원을 두 차례 단체관광, 임원 회의 후 식대 등 상인회 운영비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진정인 공동대표 조씨의 설명을 종합하면 지금까지 3차례에 걸친 상인 분배금, 관광비용, 운영비용을 모두 합해도 9000여만원에 불과하기 때문에 최소 4000만원 내지 5000만원 정도가 빈다는 것이다.
![]() |
| ▲부산 남구 감만1동 내 감만전통시장 전경. |
여기서 한 가지 의문점은 지금까지 10여년 동안 상인회 감사인 진정인 공동대표 조씨가 수차례에 걸쳐 P씨에게 “감사를 받으라”고 종용했으나 매번 거부했다는 점이다.
심지어 감사 거부는 물론 회계장부조차 없다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진정인 공동대표 조씨는 “그동안 수차례 P씨에게 감사를 받으라고 요구했으나 돌아온 답은 ‘돈은 상인들에게 분배하거나 운영비로 다 쓰고 없으며, 고발을 하던 지 말던 지 마음대로 하라’는 대답만 들었다”라고 말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P씨는 지방선거를 앞둔 3년 전 4000만원 가까이 남아 있는 잔액을 자신의 농협계좌에서 감만새마을금고로 옮겼다. 상인회 모 임원과 공동명의로 개설한 통장이다.
당시 남구의회 의원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예비후보로 등록한 P씨는 새마을금고 계좌에서 액수 미상의 상당액을 인출해 상인 수십명에게 1인당 10만원씩 추가로 분배한 것으로 알려졌다.
진정인 공동대표 조씨는 “3년 전 지방선거를 앞둔 시기에 100명이 채 안 되는 상인들에게 1인당 10만원을 줬지만 1000만원도 안 되는 금액으로 추정된다”며 “당시 새마을금고로 4000만원 가까이 되는 예금 전액을 이전했는데 현재 남은 잔액은 수백만원에 불과하다는 소문이 동네에 퍼져 있는 점으로 미루어 새마을금고 계좌로 돈이 이관된 이후에만 2000만원 정도의 행방이 묘연한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조씨는 이어 “이 2000만원 정도의 현금이 당시 지방선거 구의원 예비후보로 등록해 명함을 돌리는 등 왕성하게 선거운동을 한 P씨가 개인 선거자금으로 쓴 게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며, 경찰에서 이런 진술을 할 예정이다”라고 설명했다.
조씨는 또 “감만시장 소상인들은 1000~2000원짜리 야채를 팔거나 몇천원짜리 국밥을 팔아 생계를 꾸리고 있으며, 홈플러스 개점 이후 전통시장의 손님이 더욱 줄어 애로가 이만저만이 아니다”라며 “정당한 감사 요구를 거부하거나 회계장부가 없다고 하는 등 법과 규정을 무시하고 상식 이하의 행태를 보이는 상인회장에 대해 경찰은 강제수사를 해서라도 위법행위 여부를 철저히 규명해 잘못이 확인될 경우 엄히 처벌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 |
| ▲감만전통시장 인근 상가 전경. |
이에 대해 P씨는 “홈플러스로부터 받은 돈의 상당액을 상인회 임원과 일반 회원들에게 차등해서 나눠줬으며, 남은 돈은 오랜 기간 동안 지나오면서 상인회 운영비, 단체관광비용 등으로 사용했다”라고 밝혔다.
P씨는 이어 “15년 전 통합상인회를 결성한 직후 매월 회비를 낸 회원과 회비를 내지 않은 비회원들 간의 갈등도 있어서 앞으로 현재 진행 중인 감만1동의 재개발사업이 잘 추진돼 상인들이 이주를 하게 될 즈음에 한꺼번에 남은 돈을 정산하려 했으나, 일부 상인들의 불만이 제기되는 바람에 3년 전에도 1000여만원을 나눠줬다”라고 추가 해명했다.
P씨는 17일 오후 본지 취재기자와 만나서 상세한 얘기를 나누기로 했으나, 어찌된 영문인지 약속시간에 감만동 감만시장 내 가게를 방문한 기자에게 가족을 통해 “제보자가 누구인가”라고 물은 뒤 “진정 내용에 따른 의문점은 경찰에 가서 진술하겠으며, 언론에 추가로 설명하고 싶지 않다”라는 응대를 했다.
한편 이 사건 진정서를 접수한 부산 남부경찰서 수사과 경제5팀 담당수사관은 최근 진정인 공동대표인 조씨에게 전화를 걸어 “귀하가 진정한 횡령의혹사건은 이미 공소시효가 종결된 사건이 아니냐”며 조사를 시작하기도 전에 피진정인의 편을 드는 듯한 발언을 해 진정인들이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조씨 등 진정인 측은 이에 대해 항의하기 위해 지난 14일 남부경찰서 수사과를 방문했으나 담당수사관을 만나지 못해 옆좌석의 경찰관에게 “불과 3년 전에 4000만원 가까이 남은 잔액 중 1000여만원을 상인들에게 분배하고, 현재 관련 통장에 수백만원으로 추정되는 잔금이 남아 있기 때문에 현재진행형인 사건이다”라는 뜻을 밝한 뒤 해당 경찰관에게 전해달라고 요청했다.
진정인 측은 이날 오후 다시 사건을 배당받은 김모 수사관에게 전화를 걸어 “현재진행형인 사건인데 뭔 말이냐”라며 강력히 항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까지 진정인 조사가 진행되지는 않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본지 취재기자가 남부경찰서 수사과 경제5팀 원모 팀장에게 전화를 걸어 ‘진정인 조사도 하기 전에 공소시효가 종결된 사건’이라고 진정인에게 통보한 이유가 무엇이냐고 물었으나 “사실을 확인한 뒤 얘기하겠다”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잠시 후 다시 연결된 원 팀장은 “지금으로서는 알려드릴 특별한 내용이 없다”라는 말만 되풀이했다.
부산=글·사진 전상후 기자 sanghu60@naver.com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