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해 5월26일 귀농인들이 충남 부여군 옥산 매실농원을 방문해 재배단지, 농가생활 등을 견학하고 있다. |
‘귀농 1번지’ 농촌지역 지자체들의 슬로건 중 하나다. 지자체들은 친환경 정주 여건을 갖추는 등 귀농인 유치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귀농인은 고령화, 저출산으로 활력을 잃어가는 농촌사회에 새로운 희망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자체 각종 당근 정책 시행
지자체들은 귀농인 유치를 위해 주택자금을 지원하는 등 각종 ‘당근’ 정책을 내놓고 있다. 인구유입, 고령화 완화뿐 아니라 경제적 유발 효과도 커 이들의 안정적인 정착은 농촌 살리기의 원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농도’ 전남은 2016년까지 민간 자본 등 1조7000억원을 투자해 55곳에 휴양 및 전원마을을 조성한다. 올해에는 건강 및 휴양마을 2곳, 전원마을 2곳을 시범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귀농인 유치를 위해 이달말까지 22개 시·군과 함께 ‘도시민유치추진단’을 구성한다.
전북 순창군은 도내 처음으로 2007년 귀농인 지원조례를 제정하고 귀농하는 도시민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행·재정적 지원에 나서고 있다.
귀농조례에 따라 빈집수리 및 신축시 최대 500만원, 이사비 100만원, 소득사업비 50%(최대 5000만원), 현장실습비 96만원, 하우스 및 특용작물 영농자재 등을 지원한다.
예비 귀농인을 위한 홈스테이 프로그램과 도시민 농촌체험활동을 지원하고 예비귀농인 임시거처 마련, 예비 귀농자들의 길라잡이(성공, 실패담) 책자 발간 등을 하고 있다.
경북 예천군은 전국 최초로 귀농인이 농가주택을 신축할 경우 설계비를 50% 할인해주고 건축 전반에 대한 자문도 제공한다.
군은 귀농 이사비용 최대 100만원, 빈집 수리비 최대 500만원까지 지원하고 교육비와 임시거주지, 귀농 전용사이트 구축 등 차별화된 대책을 마련해 귀농을 돕고 있다. 귀농인 농업 창업 시 최대 2억원, 농가주택 구입 및 신축 시 4000만원 융자지원과 다양한 정착지원 사업도 펼쳐 나갈 계획이다.
강원 춘천시는 다양한 지원보다 농사경험이 부족한 예비 귀농인 교육에 전념하고 있다. 시는 농업기초지식을 포함한 현장실습 위주의 농장교육을 개설하고 4월부터 12월까지 작목별 이론·실습 교육을 진행한다. 신청자에 한해 실습농장도 임대해 한 해 농사를 미리 지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지난해 귀농·귀촌, 전년 대비 2.6배 급증
정부와 지자체들의 귀농인 유치에 힘입어 지난해 시골에서 새 희망을 찾는 인구가 급증했다.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도시에서 농어촌으로 이사한 가구는 1만503가구, 2만3415명으로 전년의 2.6배에 달했다. 2001년 880가구에서 2005년 1240가구, 2010년 4067가구로 증가세를 보이다 지난해 크게 늘었다.
귀농·귀촌 가구의 급증 현상은 베이비부머(1955∼63년생) 은퇴가 본격화한 데다 전원생활을 추구하는 국민이 늘었기 때문이다. 정부와 지자체들의 귀농·귀촌 활성화 정책도 한몫했다.
연령별로는 50대 33.7%, 40대 25.5%로 40∼50대 베이비부머 세대가 절반을 넘었다. 실제 영농이 가능한 50대 이하는 76%에 달했다. 지역별로는 강원도가 2167가구로 가장 많았고 전남도(1802가구), 경남도(1760가구), 경북도(1755가구) 순이었다.
전남은 농지면적 등 농업 여건이 좋아 이사한 가구의 84.4%가 농업 목적으로 이주했다. 수도권에서 가깝고 전원생활 여건이 좋은 강원도는 옮긴 가구의 70.3%가 단순 거주나 농가 민박업 목적 등으로 이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라안일 기자 raanil@segye.com
- 기사입력 2012.03.05 (월) 10:08, 최종수정 2012.03.05 (월) 10:07
- [ⓒ 세계일보 & local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