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정연구원, 고양시 사회통계 체계화 방안 연구보고서 발표
최아침
lo8899@naver.com | 2020-01-29 10:01:08
| ▲고양시청 전경. |
[로컬세계 최아침 기자]경기 고양시(시장 이재준) 산하 고양시정연구원은 고양시 사회통계 현황 및 통계관리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통계 자료 DB구축 및 활성화를 위한 '고양시 사회통계 체계화 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고양시는 현재 통계전담 조직이 부재한 상태이며, 통계전담 인력 역시 1명에 불과해 지역 통계 생산 및 관리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반해 고양시와 유사한 100만 이상의 인구규모를 가진 수원시와 창원시는 통계 및 빅데이터 활용 조례 제정을 통해 데이터 전담 조직을 동일 부서에 구성했고, 데이터 전문인력을 배치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50만 이상 도시 중에서도 안산시, 전주시, 천안시 등은 조례를 통해 데이터 전담 조직을 운영 중에 있다.
고양시 사회통계 체계화를 위해서는 통계청 승인통계의 지역단위 생산이 중요하므로 현재 고양시 승인통계를 6종에서 15종으로 늘려 주요 통계자료의 지속적인 DB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자료는 지속성과 최신성을 동시에 갖추어야 양질의 데이터로서 활용가치가 높다. 따라서 모든 통계자료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DB로 구축돼야 한다.
고양시 사회통계 체계화를 위한 개선 방안은 △고양시 승인통계 생산 △고양형 지역사회지표 체계 구축 △고양시 데이터 활용 조례 제정 △데이터 전담 조직 구성 △데이터 플랫폼 구축 △데이터 기반 대민서비스 확장을 단계별로 제안했다.
고양시 여론조사의 경우 주요 여론조사를 선별해 격년제로 고양시 사회조사와 문항을 연계, 지속적인 자료구축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또 고양시 시정연구용역 통계자료의 경우 현재까지 279종의 용역자료중 원자료(Raw-Data)를 제출한 경우가 5%도 되지 않는 상황이며, 취합된 데이터의 경우도 활용할 수 없는 형식으로 제출된 경우가 대부분 이어서 이에 대한 데이터 표준화 및 제출 절차에 대한 개선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시정연구용역의 경우 과업 발주부터 과업내용서에 원자료에 대한 성과품 제출방식을 상세히 명시하여 작성하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윤신희 고양시정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고양시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인 행정 지원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고양시 (빅)통계이용 및 활성화 조례’를 마련하고, ‘데이터 전담 조직’을 구성할 것"을 강조하며 "사회통계 체계화를 위한 2025 단계별 로드맵을 제안하며 양질의 사회통계 생산과 통계 DB 플랫폼 구축을 통한 데이터 기반의 행정지원"을 제안했다.
더불어 "사회통계를 토대로 ‘고양형 지역사회지표 체계 구축’을 통해 고양시민의 삶과 시정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반 마련"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