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 조류 독성 논란 반박…"수돗물 안전 이상 없다"
맹화찬 기자
a5962023@naver.com | 2025-11-24 10:27:42
[로컬세계 = 맹화찬 기자] 경남 양산시는 최근 지역 환경단체가 제기한 “수돗물에서 조류(남세균) 독성물질이 검출됐다”는 주장과 관련해, 고도정수처리 공정과 주간 조류독소 모니터링을 통해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양산시는 2022년 대구 사례를 언급하며 “필터에서 독성이 확인됐다는 사실만으로 수돗물 유래라고 단정할 수 없다는 전문가 의견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환경단체가 의뢰한 두 아파트 단지 가운데 A단지 필터에서만 극미량이 확인되고, 같은 정수장 물을 쓰는 B단지는 합동 역학조사에서 검출되지 않았다는 점도 제시했다. A단지는 단체가 위치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현장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양산시는 환경단체가 제시한 LC-MS/MS 측정치가 ‘0.1ng/필터’였고, 필터 사용을 30일·하루 10L 통수로 가정해 환산하면 0.00033ng/L 수준이라며 “세계보건기구(WHO)와 국내 감시항목 기준(각 1,000ng/L)에 견줘 약 300만분의 1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또한 같은 분석법의 ‘정량한계’(정확한 정량이 가능한 최소 농도)가 50ng/L이므로 그 미만 값은 원칙적으로 ‘불검출’로 표기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정수 공정과 관련해서는 응집·침전·여과, 염소·오존 산화, 입상활성탄 등 고도정수 처리를 전 공정에 걸쳐 운용 중이며, 공정별 독소 저감 효율은 환경부 자료상 70~100% 수준이라고 밝혔다. 시는 먹는물 수질검사기관을 통해 법정보다 강화된 주간 검사를 시행하고 결과를 시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다고 했다.
양산시는 수돗물 신뢰 제고를 위한 보완 조치도 병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수도시설 블록화사업(2020~2025년), 신도시정수장 증설 및 분말활성탄 공정 추가(2024~2027년), 광역취수시설 설치(2024~2027년), 수돗물 모니터단 운영(2015년~), 영·유아시설 무료 수질검사(2024년~)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취약시설 지원과 관리자 교육도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양산시 관계자는 “정수 공정 정상 가동과 강화된 모니터링으로 수돗물 안전을 확보하고 있다”며 “검사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현장 설명을 지속해 시민 불안을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