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자치구별 장래인구추계 개발

조윤찬

ycc925@localsegye.co.kr | 2015-12-22 10:28:28

2033년까지 사회문제 예측 및 미래사회 대비
▲ 2014년∼2033년 5개 자치구별 인구피라미드.

[로컬세계 조윤찬 기자]대전시는 지자체 최초로 초고령사회 진입 등 미래사회 변화를 선제적으로 예측하고 정책에 활용할 ‘자치구별 장래인구추계’ 신규통계를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해당 통계는 자치구별로 미래 인구구조의 변화 시점이 각기 다름에 따라 각 자치구별 사회문제 예측 정보를 선제적으로 제공하며 미래사회에 대비할 장치를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통계는 5개 자치구별 출생, 사망, 인구이동의 최근 추이를 반영하고 지난 2014년부터 오는 2033년까지 20년간의 자치구별 상주인구를 전망한 결과이며 코호트요인법을 적용해 추계됐다.

주요 항목으로는 연령별 장래인구, 인구성장률, 중위연령, 유소년인구, 생산가능인구, 고령인구, 부양비 및 노령화 지수 등의 10개 항목이며 각 자치구별 초고령사회 진입시점 및 속도, 인구피라미드 변화 등을 확인 할 수 있다.  

주요 인구변화를 살펴보면 대전은 2030년 155만 1000명을 정점으로 2033년 155만명에 이르며 자치구별로 유성구는 2031년(35만 7000명)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동구·중구는 2020년 전후로 반등 포인트로 늘고 서구·대덕구는 2033년까지 인구감소가 전망된다.

앞으로 20년간 모든 자치구의 인구 피라미드는 저연령층이 줄면서 고연령층은 많아지는 역피라미드 형태로 점차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대전평균 10%에 머물던 수준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2033년 유성구(17.1%)를 제외한 모든 자치구에서 고령인구가 20%를 초과할 것으로 보인다.

손철웅 정책기획관은 “앞으로도 다양한 신규통계 개발을 통해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정책수립 환경을 마련할 것”이라며 “대전시 통계가 시민에게 친밀한 정보가 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 2014년~2033년 5개 자치구별 고령인구 비중.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