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Earth Human Epoch Conference]-(316) 우리가 필요한 것은 공장도 토지지도 아닌 다양한 가능성

마나미 기자

manami0928@naver.com | 2021-11-23 11:36:42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명예교수

What we need is not a factory or land, but various possibilities(우리가 필요한 것은 공장도 토지도 아닌 다양한 가능성)이므로 이것이 메타버스트 시대의 요구조건이다. 

그러므로 다양성을 요구하는 것은 무형재산경제가 지배하는 신민주주의 메타버스가 충족시켜 준다고 예측하고 있다. 어떠한 불행한 시대라도 긍정적으로 인생을 끌고 가려는 사람이 있다. 현재의 유지를 좋아하지 않고 새로운 것에 도전하여 넘어져도 다시 일어나고 또 일어나 전진하려고 활동하게 된다.


스스로 전진하려는 사람들이 넘어져도 전진하는 강인한 힘을 발휘하는 사람들이 많아질수록 강하게 만드는 활력이 일치하여 강하게 되는 것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변하지 않고 있다.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전진하는 사람들은 그들을 위해 힘이 되는 것은 물론 새로운 시대, 새로운 정보를 전달한다고 말하고 싶다. 이렇게 한 사람 한 사람의 공헌으로 미래를 강하게 나갈 것이라고 믿고 앞으로 앞으로 나아가므로 전진하는 힘이 쓰나미 처럼 크게 덮쳐가게 되므로 전진은 강한 번영이 된다. 이해관계자(To our of stakeholder)는 배려와 신뢰를 기반으로 한 경험은 모든 이해 관계자에게 창출되는 가치를 그 대화를 추구 합니다. 그러므로 인해관계자는 고객, 비지니즈 파트너, 주주, 직원 등이 함께하게 된다.


그러므로 기쁨이 풍부해지면서 행복이라고 느끼며 그것을 목표로 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이익을 가져다준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들이 필요한 것는 공장도 토지도 아닌 다양한 가능성이라고 강하게 말하고 싶다. 그러므로 신자유경제 와 신자유민주주의가 형성되면서 메터버스의 파급으로 무형재산경제가 지배하는 멋진 시대인 예술가 작가 등이 자본가가 되여 주체가 된다. 그러므로 무형자신이 경제를 지배하는 시대가되므로 결과적으로 다양하한 가능성이 SDGs, ESG, CSR 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배산임수는 인간의 삶의 기본을 결정하는 중요한 ESG 의 영향의 공통성이다. 그러므로 무형자산이며 그것이 시대발전에 적응하여 보다 행복을 이어가게 한다. 그러나 지구의 기후변화가 예고 없이 순환하게 되면 그 충격의 회복은 많은 시간을 요구되고 있으나 무형재산경제는 회복이 과거보다 빠르게 회복되는 것이 특징이다.

예술가가 자본가로의 활동이 이루어지는 세상은 무형자산이며 그것이 유형 자산경제와 비교하여 선택하게 되면서 진행 속도는 순간이 되어 무형재산이 경제를 지배하는 새로운 시스템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시대의 Mission은 지구를 위해 지구의 인간의 삶을 위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가는 것이다.

지구는 망구측이 잘 이루어져 있어 원클릭 IPO. ICPO를 순간에 해결한다는 것은 무형자산자유시대의 결과이다. 그러므로 시간과 공간의 차이 없이 움직이는 무형재산경제가 되어 모든 것을 지배하게 될 것이다.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명예교수. 한국갈등조정학회장. (사)해양문화치유관광발전회고문. 땅물빛바람연구소장, New Normal Institute 연구소장. 풍수지리감정사연맹 총재. 구리시 미세먼지 대응대책위원회 위원장.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