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Earth Geoengineering]-(73) 지구표면의 물이 증가하고 있다.
마나미 기자
| 2022-08-25 16:25:56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명예교수 |
지구가 탄생한 후 2억년 동안이나 물 없이 즉 바다와 강물이 없는 무산소 시대가 있었던 것이 지구의 역사이다. 현재는 지구에 물이 넘쳐 흐르는 현상으로 인간의 삶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고 말하는 것이 기후변동, 기후변화는 인간이 만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화력발전소에서 24시간 12달 동안 연기 CO2가스가 지구를 뜨겁게 하는 요인이라고 UN보고서에서 말하고 있어 모두가 따라 말하고 있다.
인간이 지구에 영향을 주는 시대는 없었으며 현재도 그러하다고 말하고 싶은 것은 인간이 지구를 관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인간이 발생하는 C02가스가 지구의 우주공간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은 지구의 극지적 현상은 가능하나 전체적 영향은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인간이 과학문명을 일으킨 것이 얼마 되지 안했어요. 인간이 지구에서 지구의 에너지 변동에 기여한 것은 인간이 생각하는 것일 뿐이다라고 말하는 것은 지구는 태양을 중심으로 자전과 공전을 하고 있기에 인간의 그 힘을 변동시킬 수 있는 능력은 아니기 때문이다.
인간이 상상하는 것은 인간이 기억하는 아니 생각하는 현상을 말하는 것이므로 간단하게 자기적 생각을 말하기에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말하지만 우주공간은 지구와 같은 크기의 행성이 수백개가 부닥치지 않고 있는 공간이라는 것이므로 그리 간단하게 인간이 천년도 안되는 기간에 우주의 문제를 생각대로 말하는 것은 결국 인간의 상상이다.
다시 말해서 지구와 같은 물체가 셀 수 없이 있으면서 그들 간의 간격이 수억광년이나 떨어저 있는 공간이므로 인간이 상상하지 못하는 공간이다, 그건 것을 지구인들이 상상하는 물질이 간단히 채운 다는 것이라고 결론짓고 인간이 말하는 것이 인간의 상상일 뿐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우주의 공간에서 타 물질의 우주간의 거리는 상상을 초월하는 거리이므로 그저 단위로 계산 되는 거리이지 인간이 쉽게 가서 보고 오는 순간적 현상의 우주공간이 아니기에 인간은 상상하는 것 뿐이다. 만화에서 타 행성에 갔다 오니 자기 집 식구들은 수억년 전에 있었던 역사적 사람들이이라는 만화의 표현이 실제적인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간이 즉 80억 인구가 생산하는 CO2 량이 역습한다는 것은 대단히 극지적인 것을 말하는 인간의 스토리일 뿐이다. 그러므로 지구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은 우리기 모다 불 피고 아이 더워 하지만 불이 꺼지면 평상으로 돌아가는 것과 갖다. 그러므로 순간을 상상하여 말 하는 것이므로 인간에게 스쳐가는 바람을 지구의 영향이며 그것이 인간이 생산한 물질이라고 하는 것과 같은 논리적 일 것이다. 그러나 인간이 말하는 것은 조족지혈과 같은 말이므로 그것은 눈으로 본 것과 경험한 것을 전개하는 것이다.
얼마전 어떤 도시에서 질산염이 폭발하여 도시가 초토화 되었지만 시간이 지나간 후는 순간 공간의 문제는 회복되어 언제 무엇이 일어났었는지 기억도 현상도 알 수 없는 것처럼 우주공간의 행성은 우리가 풍선에 입으로 공기를 불어 공기를 넣어 있는 것 정도와 같은 것과 같다고 말할 수 있어요, 인간이 만든 풍선이 터져도 그 공기가 지구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과 같은 것, 즉 우주공간이 하나이기에 그 표시 그 거리 그 힘이 인간이 감지하는 정도가 돠지 않고 있기 때문이지만 인간은 인간이 보는 현상을 파인얼그랜드가 기억하는 정도이기에 실제는 아무 변화가 없는 것이기에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며 그것을 상상하고 현상에 대비하므로 쉽게 이해하는 것 뿐이다.
이웃에 관심 있어 눈여겨 본 사람은 우주공간에 지구와 비슷한 행성여행을 가는데 수억광년이 걸린다는 것을 상상해보면 그 긴 기간 동안에 여행자의 자손들이 인간 시간간격으로 얼마의 시간이 흘렀는지 기억할 만만한 시간은 아니다라고 말하고 있지요.
그런 현상을 단편적으로만 생각해도 도저히 이해하기 어려운 공간의 간격이라는 것을 알 것이다. 그러하면 우리가 말하는 환경역습은 아주 초 미세한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므로 그것을 말한다면 인간이 상상하는 것이 모두가 반복되는 것처럼 생각하게 되며 그것이 지구와 행성간의 거리를 좁혀져 읍내 장날에 다녀 오는 것의 거리라고 착각하고 문제를 다 그렇게 해결하고 있어 순간을 인간은 알아차리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예를 들면 인간의 몸에 아주 미세한 바이러스가 인간의 머리에서 발까지 가는데 걸리는 시간 과 가리는 인간이 지구의 우주공간의 행성을 생각하는 거리와 동등할 것이므로 상상한 것을 우주의 역습이니 지구와 다른 행성이 충돌 한다느니, 그러면 인간이 다 전멸하고 안간만 생존한다는 아전인수격의 논리만 내는 것이 인간일 뿐이다. 그러므로 인간이 우주공간을 상상의 결과이다. 그런 현상이 방가 간빙기에 의해 해발도고 5m 이내의 도시는 모두 수몰될 것이다.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명예교수(Professor Emeritus, Moowoong Choi, Ph.D, Konkuk University).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