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외수출박람회 모습.(충남도 제공) |
[로컬세계 박명훈 기자]지난해 충남도 수산식품 수출액이 사상 최대인 1억1789만 달러를 달성한 가운데, 이에 따른 지역경제 생산 유발 효과가 2023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도는 25일 ‘2020년 충남도 수산식품 수출 현황’ 및 ‘수산식품 수출액 증가에 따른 경제적 효과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도내 수산식품 수출 현황에 따르면, 수출액은 1억1789만 달러로 9452만 달러를 기록한 2019년 대비 2337만 달러(24.7%) 증가했다.
가장 많이 수출한 품목은 조미김 등 기타수산가공품으로 수출액 8922만 달러를 돌파해 수산식품 전체 수출액의 75.7%를 차지했으며 전년 대비 증가율은 190.8%에 이른다.
▲김 양식장 모습. |
품목별로 보면, △기타 수산가공품 8922만 달러 △김 2225만7000달러 △기타 수산물 153만3000달러 △어육 129만3000달러 △미역 111만3000달러 △기타 조개 108만8000달러 △기타 해조류 23만 달러 △넙치 18만4000달러 △어류 통조림 15만4000달러 △기타 81만4000달러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시·군별로는 △홍성 6980만4000달러 △보령 1694만6000달러 △당진 1271만2000달러 △서천 1247만7000달러 △태안 216만 달러 △공주 23만7000달러 등의 순으로 수출액이 많았다.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 3785만9000달러 △미국 2768만2000달러 △대만 618만1000달러 △일본 448만6000달러 △러시아 439만5000달러 △호주 417만3000달러 △필리핀 384만5000달러 △태국 365만 달러 △홍콩 351만 달러 △캐나다 317만5000달러 △기타 1893만 달러 순으로 확인됐다.
특히 수산식품 수출국은 통계가 작성된 2000년 13개국에서 지난해 56개국으로 확대됐고, 수출 품목도 9개에서 23개로 늘어나는 등 수출 다변화와 급격한 성장이 눈에 띄었다.
충남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수산식품 수출액 1억 1789만 달러 달성으로 거둔 지역경제 생산 유발 효과는 2023억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는 586억원, 고용 유발 효과는 2540명이다.
지역 외 파급효과를 합산한 우리나라 전 지역에서의 생산 유발 효과는 총 3187억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는 987억원, 고용 유발 효과는 3705명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충남연구원은 지역 특산품인 조미김 등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상품 개발, 도내 관련 기업을 중심으로 한 해외 소비처 확대 정책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