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용우 행정학박사(지적학전공)/작가 |
정말 순수하게 아무런 부정행위나 권력과의 결탁이 없이 이루어낸 수익이라면 오히려 표창을 해야 할 일이지만 이미 밝혀진 것 자체가 권력과의 결탁이니 그 끝이 어디인지는, 누가 그 꼭대기에 앉은 권력인지는 반드시 밝혀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히 밝혀낼 뿐만 아니라 다시는 이 땅에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없도록, 이번 기회에 돌이킬 수 없는 죄를 짓는 것이 백성들의 땅 가지고 장난치는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장동에서 그들은 4,040억원을 배당받았는데, 성남개발공사가 입은 손해액은 1,827억원이라면 1,827억원 모두를 추징한다손 치더라도 나머지 2,213억원은 그들에게 잔존하는 것이다.
2,213억원이라는 기하학적인 돈은 과연 누구 주머니에서 나온 것이며 누구의 피를 쥐어짠 것인지는 설명하지 않아도 알 일이다. 그런데 그들이 그 돈을 나눠 갖는다니, 그렇다면 그럭저럭 빵에서 그 돈의 일부를 써가며 편안하게 몇 년 구르다 병보석이나 가석방이나 등등의 방식으로 나온다는 계산을 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더더욱 김만배의 처와 그 누나가 배당받은 101억씩의 돈은 과연 어찌 될 것인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그들이 자신들은 순수 투자자라고 우겨서 죄를 물을 수 없다면 김만배는 자신이 받은 배당금 몽땅 털려도 최소한 100억 이상은 남는 장사다. 누나의 배당금에서 얼마를 돌려받기로 하고 투자를 알선해 주었는지는 모르지만, 일단 처가 배당받은 돈 101억원은 남을 것이니, 그렇게 된다면 그런 장사 안 할 사람이 어디 있을지 묻고 싶다.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말을 단순히 우연이라는 말로 해석하기에는 그 말이 생겨나던 시대와 지금은 여러 가지로 상황이 너무나 다르다. 더더욱 그 말이 생겨나던 시절에도 까마귀가 날자 배가 떨어지는 현상이 단순히 우연이라는 의미로 했던 말이 아닐 수 있다.
까마귀의 움직임이 배나무에 모종의 영향을 끼쳤고, 그로 인해서 배가 떨어졌다는 책임론을 부각하고 싶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다만 세상 모든 일을 그저 눈에 보이는 그대로 복잡하지 않고 평온한 마음으로 해석하기를 좋아하던 우리 조상들께서 좋은 게 좋은 거라고 우연히 일어난 일이라고 해석한 것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속담을 조금은 돌아선 묘한 방향에서 해석해 보면 그도 그럴듯하게 들린다. 그렇게 돌려서 해석하는 것을 단순히 억지라고 볼 수 없는 것은 오얏나무 아래서 갓끈을 고쳐 매지 말고, 참외밭에서는 신발 끈을 고쳐매지 말라고 했던 조상들의 번득이는 지혜가 유독 생각나는 해석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당연히 땅값이 싸야 집값이 싸질 텐데 뇌물로 바치는 몫을 떼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시작한 사업이니 안심해도 될 일 같지만, 만약의 경우 대가를 치러야 할 것까지 계산에 넣고 나니 땅값은 천정부지로 치솟게 된다. 그것도 웬만큼 남겨 먹은 것이 아니라 실로 터무니없으니 문제다. 더더욱 그렇게 부풀려진 땅값이 그분의 주머니 채우는 데 쓰였다는 것은 경악할 일이 아닐 수 없다. (제5회에 계속)
신용우 행정학박사(지적학전공)/작가/칼럼니스트/영토론 강사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