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청 및 국방부 사업 담당자 소환 조사 방침
![]() |
▲ 자료사진(본 기사 내용과 무관함). <출처=공군 홈페이지> |
청와대는 방위사업청에 한국형 전투기 사업 관련 자료 제출을 요구했으며, 방사청과 국방부를 상대로 사업 담당자의 소환 조사도 추진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번 조사를 통해 한국형 전투기 사업이 미국으로부터 핵심기술을 이전받을 수 없는 상황을 알고도 계약을 체결한 이유에 대해 집중 추궁하고 관련자의 책임 여부를 가릴 예정이다.
이 같은 청와대의 한국형 전투기 개발 사업 부실 여부에 관한 진상 조사 착수에 따라, 일각에서는 사업 전반에 대한 전면 재검토와 함께 당초 사업의 목표 시점인 2025년까지 완료되기 어려운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편, 앞서 방사청은 지난해 9월 미국의 차세대 전투기 F-35A 40대를 도입하기로 하면서 절충교역으로 한국형 전투기 사업에 필요한 25가지 기술을 이전 받기로 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미국 정부는 차세대 전투기의 가장 중요한 기술인 AESA 레이더 등 4가지 핵심 기술은 자국 기술보호 차원에서 이전할 수 없다며 이를 거부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