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
심지어는 동네 구멍가게가 소리 없이 사라져버린 세상이다. 그리고 동네마다 편의점들이 자리 잡고 있다. 물론 세상의 변화를 누가 탓하리요. 하지만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접하면서 살았던 재래시장이 서서히 그 기능을 잃어가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누가 그걸 막을 수 있는가? 시장 원리라고 그냥 방치 해 두겠는가? 모든 것들이 변화 속에서 하루가 다르게 경쟁하는 시대다 보니, 어쩔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래도 재래시장은 그 기능이 모든 것을 직접 직거래 스타일이라서 단가 면에서는 마트나 슈퍼보다는 경쟁력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특히 농산물은 재래시장의 기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그걸 기반으로 재래시장 기능을 보완시키면 경쟁력이 우수할 수 있으나 대부분 재래시장의 상인들이 경영 원리를 잘 모르기 때문에 상권을 잃어가고 있는 현실이다. 각 재래시장마다 농촌과 직거래를 열어서 보다 좋은 상품으로 값싸게 경쟁력을 키울 수도 있다.
그런데 문제는 재래시장의 상인들의 영업 방침이 전문성에서 뒤떨어지기 때문에 그렇다. 이것을 보완하는 것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신경을 써주면 금방 되살아 날 수도 있다. 그 지역 특성도 살리고 재래시장 기능도 보완할 수 있다.
대부분 재래시장은 대지는 넓고 시장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그 땅 위에다 생산성이 있게 국민 행복주택을 높이 지어서 서민들의 주거 환경 변화도 생각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되면 시장 기능도 좋아지고 수요자도 대폭 늘어날 수 있다.
이제 재래시장은 방치보다는 생활의 변화 속에서 자연스럽게 그 기능을 높여주는 시장 기능으로 보완시켜야 할 것이다. 지금 전국 어느 곳이나 재래시장은 많이 있다. 그러나 그 활용도는 떨어지기 때문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그 기능을 살리려고 구체적 기획을 세워서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이것은 그 기능도 좋아지고 생산성 있게 재래시장이 돌변하는 것이다.
과거 추억에 젖어서 버려두는 곳보다는 생산성 있는 재래시장 활용도를 다시 한번 생각하는 마음으로 도시 미관도 좋아지고 집 지을 땅이 없다고 논밭에다 허가 내주는 것보다는 재래시장을 활용하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혜가 모아져서 재래시장 그 기능이 살아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