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안홍준 의원(새누리 마산회원구). <사진=의원실> |
새누리당 안홍준 의원(마산회원구)이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수중발굴 잠수인력은 매년 발굴상황에 따라 민간잠수사 6~8명 정도를 단기채용해 운영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우리나라 수중문화유산을 담당하는 유일한 기관이다. 연구소는 매년 2개정도의 수중 유적발굴을 진행하고 있다.
발굴현장 1개소에 필요한 최소 전문잠수인력은 팀장 1명, 조사원 4명, 잠수인력 4명으로 9명 정도이다.
현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소속 수중발굴 전문잠수조사원은 총 8명으로 모두 문화재관련학과의 학사나 석사 학위를 취득한 전문가이다.
이들의 평균 근무 연수는 5.25년으로 적게는 1년에서 길게는 14년의 경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민간잠수사들은 대부분 산업현장이나 군에서 잠수경력을 쌓아 잠수에 대한 전문성은 인정되지만 수중유물발굴에 대한 전문성은 인정하기 어렵다.
특히 수중 발굴현장에서는 완전한 형태의 유물들이 상당수 발견되고 있기 때문에 고고학적인 전문성을 요할 수밖에 없다.
결국 수중발굴에 참여하고 있는 민간잠수인력들은 발굴현장에서 할 수 있는 일은 대부분 수중 제토작업이나 발굴사진 또는 영상촬영, 그리드작업, 발굴조사 보조 등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안홍준 의원은 “고고학적인 전문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지금처럼 수중발굴에 필요한 인력의 반을 단기채용방식으로 민간잠수인력으로 운영하는 것은 문제가 많다. 수중발굴 전문잠수인력의 비율을 높여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