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맹화찬 기자] 부산시가 시민의 약 3조원의 예산을 투입해 올해 일자리 18만개 창출에 나선다.
부산시는 올해 ‘일자리창출 종합계획’을 마련하고 833개 사업에 국·시비 등을 포함한 2조 8550억원을 투입해 18만 533개(좋은일자리 5만개)의 일자리를 창출·지원한다고 14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4대 전략으로 ▲포괄적 민·관 협치 및 부산형 일자리정책 발굴 강화 ▲규제개혁 및 산업체질 강화로 민간일자리 창출지원 강화 ▲기업유치와 창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 ▲현장중심 인력양성 및 ‘고용-복지’ 연계를 강화하고 17개 세부 실천과제를 중점 추진한다.
청년층의 고용절벽 해소를 위해 9193억원의 예산을 반영해 3만 2000개의 고용기회를 창출·지원하고 베이비부머(55~63년생) 세대를 포함한 중·장년층 일자리창출사업에 가장 많은 1조 6250억원을 투입한다. 또한 고령사회(65세이상 비율 14% 이상)로 접어든 부산의 현실을 감안해 3107억원을 배정, 3만개 일자리를 지원한다.
시는 추진전략별로 연구개발(R&D) 유치·지원, 신산업·고부가 전략산업 육성 등 기업활동 활성화 및 산업체질 강화 지원사업에 1조 998억원의 예산을 배정, 2만개의 일자리를 창출·지원하고 기업 유치와 창업 등을 통한 일자리 연계 사업에 9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1만 5000여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현장중심 인력양성 및 취약계층을 위한 고용-복지 연계사업에 7000억원을 반영해 13만 4000여개의 일자리를 창출·지원한다.
특히 일자리정책의 컨트롤 기능강화를 위해 월 1회 개최하는 ‘일자리정책조정회의’ 참석대상을 유관기관, 대학 등으로 확대 운영하고 ‘부산일자리 아젠다 10’ 추진상황 점검을 위한 일자리 전략 점검회의 개최하며 신규예산 투입사업 등 정책 수립 시에는 일자리창출 효과를 사전 분석·검토토록 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일자리라는 것은 궁극적으로 민간 기업에서 만들어지는 것으로, 다양한 부산형 정책개발 및 규제개혁 등을 통해 민간의 일자리창출 환경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일자리창출을 위한 가시적 성과 및 시민체감도 제고를 위해 3월 일자리계획 점검회의, 4월 일자리위원회, 5월 일자리공시제 평가 등 일자리창출 이행현황 및 현장중심의 성과를 매월 점검하고 챙기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