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강흥 (시인, 수필가) |
돈 퍼주기식 공약 정책은 예전부터 국가혁명당의 허모 후보가 주요 정책으로 내놓았던 서민들을 위한 깜짝 공약들이다. 그런데 이것이 어찌 된 일인가?
이번 제20대 대통령선거 후보들의 여당과 야당 주류들이 정책 방향이 모두 다 퍼주기식 돈 선거 방향으로 가고 있다. 이렇게 국민 앞에 해도 되는가? 생각들이 있는가? 의심스럽다.
후보 자신들의 소신 정책보다는 선거의 인기몰이식으로 국민들과 즐겁게 대화하는 해학 같은 소리 같다. 지금까지 우리 정부의 고심은 일자리 문제와 부동산 문제의 핵심도 해결 못 하고 엉망이다. 찻째 부동산 집값 문제도 제대로 잡지 못한 상태로 정부가 또 바뀌어 간다.
그런데 돈은 어디서 나서 그렇게 퍼주고 살겠다는 것인지 오히려 서민들이 걱정이 더 앞선다. 대통령선거가 누구를 선출하느냐 보다 당선 이후가 국민들은 더 걱정이 앞선다. 이것이 올바른 선거인가?
지금 우리나라의 실정에서 퍼주기식 정책이 과연 올바른 정책인가? 의심은 막무가내로 돌변하는 정치가 결국 서민들만 못살게 하는 정책이 될까 걱정이 앞선다. 무조건 식으로 당선만 되고 보자는 식은 위험한 발상이다.
국민들에게 가장 중요한 부동산 문제와 일자리 문제도 해결이 말로만 떠드는 사회가 되어서 결국에는 국민들의 걱정거리가 되어 가는데 정치의 현실은 도대체 무엇인가? 국민을 위한 바른 정치를 하고 있는가? 묻고 싶다.
우리의 현실정치가 과거 어두운 시절에는 민주화 투쟁으로 나라가 시끄럽게 돌아갔는데 이제는 법치주의로서 질서가 있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과연 우리 정치 현실은 어떤가? 막무가내식 정치로 소속 정당과 자신만을 위한 정치로 국민들의 눈살을 찌뿌리게 하는 사안들이 하나둘인가?
권력은 국가와 국민을 위해서 일을 잘 하라고 준 것이지 국민을 군림하고 자신을 과시하라고 준 것이 아니다. 이 나라의 역대 대통령의 역사를 보면 참혹한 대통령의 역사이다. 왜 그런가 한번 둘러보라 모든 것이 국민들의 책임도 크다.
한 나라를 책임진다는 대통령의 자리는 자신의 소신 없이 누구나 그 자리를 탐내서는 안 된다. 왜 그런가? 한번 생각하면 답이 보인다.
책임져야 할 나라보다는 자신의 영달을 위해서 자리값을 하다 보니 대통령의 임기가 끝나면 교도소로 가는 것이 다반사처럼 부끄러운 현실이다. 이것이 우리 나라의 대통령의 자리이다. 이래도 되겠는가? 나라의 망신이다.
이런 짓을 보면서도 부정부패를 하고 싶을까? 역사 앞에 명예롭게 대통령으로서 퇴진하는 모습이 좋다는 것을 알아야 하는데 비극처럼 걸어가는 모습에 국민들도 안타깝다. 이것은 자신의 문제이지만 결국 그 나라의 국격과도 같다. 대통령의 자리는 아무나 앉은 자리가 아니다. 소신과 철학을 가지고 이 나라를 위해서 올바르게 일할 일꾼을 뽑아야 한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