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
그렇다면 판매처에서 다시 바꿔주거나 환불을 해주어야 원칙인데 코드를 뜯어서 사용했다는 핑계로 환불도 다른 제품으로 교환도 해주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이 판매처와 짜고 소비자들을 우롱하는 상술이다. 그렇다면 정부는 그냥 방관만 하고 지켜보고만 있을 것인가?
모든 구글 기프트 카드 판매를 중지 시키던가? 아니면 판매처의 서비스 정신을 고치도록 제도화를 시키던가? 해야지 계속 소비자들의 피해는 크게 늘어 가는데, 불만만 증폭시키며 지켜보고 방관만 할 것인가?
정부는 법적 규제가 있기에 사회 기강과 문제점이 국민들에게 피해를 주는 상행위는 제도가 규제하는 조치가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국민 모두가 신뢰하고 자신이 필요한 물건을 구매해도 믿음이 가지 그렇게 문제점이 있다면 과연 누가 사기 행각이나 마찬가지인 그 제품을 믿고 선호하겠는가?
그리고 요즘 같이 흔하게 쓰고 투명한 거래가 카드 사용인데 카드도 안되고 현금으로만 구매한다는 것도 이해가 안 가는 것이다. 그런데도 소비자들의 피해가 너무나 많이 늘어나는데도 경찰도 판매처도 서로 나몰라라 하는 행동들이 사회와 국민들의 피해를 키우는 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구글 기프트카드 판매는 방출시켜야 한다. 제도를 소비자 입장에서 피해가 없이 간다면 다르겠지만 제도 개선도 쉽지 않다.
우리 사회가 보이스 피싱이다, 사기다 등 갈수록 피해를 입고 억울해 하는 고객들의 입장을 생각한다면, 정부의 결단이 필요할 때이다. 올바른 상 행위는 사회의 기강을 바로 세우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이런 문제점이 나타나는데도 그대로 방치한다면 그 피해는 결국 약자인 소비자 국민들에게 돌아 간다.
갈수록 인터넷이 발달 되어가는 세상에는 이 보다 더한 문제가 생기는 제품이 나와서 판매 방법을 이상하게 만들어서 소비자들에게 피해를 유발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정부는 그 문제점을 하루 속히 규제로 대처하여 피해자가 없도록 정부의 관심 어린 규제 방법이 소비자를 살리는 길이다.
세상이 편리한 세상으로 변해가는 것은 사실이다. 과학 문명이 더 발전하는 사회로 변해가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상 행위가 질서를 무시하는 행동은 안된다. 고객들을 이용하는 처사로 엄중하게 정부는 규제를 해야 한다.
주로 나이 드신 어르신이나 어린이 청소년들에게는 더 큰 피해가 될 수도 있다. 그래서 사회 문제가 더 커지지 않도록 정부의 법적 규제로 방법을 찾아내어 소비자들에게 피해가 없도록 해야 한다. 이것이 대한민국이다라는 것을 전 세계에 보여주어야 한다.
우리가 방심하는 사이에 피해자는 늘어나고 국민들의 불만은 이 사회를 불신으로 더불어 사는 사회가 믿음이 사라진 세상으로 변하여 가는 길이다. 그래서 구글 기프트 카드 판매 방법의 문제점은 정부가 하루빨리 조치하여 피해자가 없도록 규제 조치를 마련 해야 한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