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
한시가 바쁘게 움직여야 할 부처다. 장관이 공석이면 되겠는가? 물론 직무대행권자는 있다. 그러나 책임소재가 분명하게 가려면 그 직책은 부처 장관 인선이다.
이런 결과에서 여야가 극한 대립 정치로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기면서 싸움만 한다. 이래 가지고 되겠는가? 국민들은 지켜보고 있다. 한마디로 한심스럽다. 국회의원으로 선출할 때는 국가와 국민을 위해서 의정활동 일을 하라고 선출해 주었지 여야 싸움질하라고 뽑아주지는 않았다.
집권이 여야가 바뀌면서 서로 흠집내기식 정치는 결과적으로 서로가 시간만 가지 결과는 서로가 손해다. 잘못이 있으면 사과하고 고쳐나가면 되지 매사 서로 다툼만 하면 효과 없이 세월만 보내는 꼴이 된다.
정치는 국민들이 삶에서 느끼는 문제점이 시대적 상황으로 법도 변해야 하는 것이 시대정신이다. 그런데 과거의 입법을 가지고 지금 그 법을 따라가려면 시대가 뒤떨어져서 어려움이 많기때문에 국민들의 불만도 크다. 그래서 모든 정책은 국민으로 부터 나온다.
우리 사회가 하루가 다르게 변해가는 사회다. 이런 세상에서 살려면 국민도 정치인도 모두가 정친 차리고 맏은 바 소신 있게 질서를 지키며 살아야 한다. 그런데 그 질서를 오히려 국회의원들이 무질서로 가고 있다. 의원 본질을 잃어버리고 안주하는 정치가 과연 현실 정치인가? 묻고 싶다.
국민을 위해서 선거 때는 일한다고 해놓고서 당선만 되면 국민은 버리고 자신과 당을 위해서 안주하는 모습이 우습다. 다음 선거에 공천을 노리는 행위인가? 이것이 문제다. 소신 있는 행동과 발언으로 국민을 위해서 싸워라. 여야 논쟁으로 자신의 당의 입지를 위해서 노력하지 말고 진정한 국민들을 위해서 일을 해야 한다.
지금 우리나라는 정치도 문제지만 언론도 문제다. 정치인들의 행동과 발언을 자신들의 편가르기식 언론 보도로 국민을 기만한다. 심지어는 종교 지도자들도 마찬가지다. 되도록 종교는 정치에 개입하지 말았으면 한다. 정치에 개입으로 그 종교까지 총체적으로 냉대 받을 수 있다. 그렇다면 그것이 무슨 종교이며 믿음이 가겠는가?
정치는 정치, 종교는 종교다운 모습으로 다시 태어나길 바란다. 이래야만 대한민국이 서로 협치하여 잘 사는 나라로 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야만 국민들도 편가르기식 정치와 지역색을 고치면서 정치를 지지로 통합을 이뤄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이대로 가면 통합을 이룰 수가 없다. 이걸 고치려면 나부터 서로 상대를 이해하고 배려하면 사회는 잘 소통되어 갈 것이다.
국민이 원하는 정책은 삶의 밑거름을 풍요롭게 잘 살 수 있는 정책을 원한다. 이것은 정치의 기본적인 것이다. 우리 다 함께 노력하는 자세로 다시 돌아가 정치가 국민 통합을 이루길 바란다. 이것만이 우리의 살길이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