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김림 기자] 행정자치부는 지난 7일부터 내달 27일까지 국가행정, 지차체, 교육기관 등 1만 5000여 개 공공기관이 사용하는 1만 1249개 개인정보처리 시스템에 대해 일제 점검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최근 주택공사 주민번호 노출, 메르스 사태 개인정보 유출 등 공공기간의 개인정보 관리 실태가 해이해져 큰 우려를 사고 있다.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유출 건수는 민간에 비해 적은 편이나 개인정보 보유량은 파일 수 35만 개 규모 1236억 건으로 그 규모가 크다.
게다가 대부분이 의료, 재산, 부동산과 관련한 민감한 정보로 이뤄져 유출 사고 발생 시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개인정보보호 수준 진단 결과에 따르면 중앙부처, 광역지자체에 비해 공기업과 산하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관리 시스템이 다소 미흡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행정자치부는 철저하고 체계적인 점검을 진행할 계획이다.
우선 이번 달에는 행자부 자율점검표에 따라 온라인으로 자율점검을 실시하고, 내달에는 취약·미실시 기관을 대상으로 중앙부처 및 광역지차체 별 확인점검, 취약기관과 주요 시스템에 대해서는 행자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의 현장점검이 이뤄질 예정이다.
행자부는 점검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도록 관련 권한을 부여하고 앞으로 공공기관의 상시 자율적 자체점검을 위한 점검환경을 제공하기로 했다.
아울러 공공기관 직원이 개인정보를 오·남용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접근권한 통제, 접근기록 관리도 집중 점검한다.
정재근 행자부 차관은 “공공기관이 보유한 국민의 소중한 개인정보가 철저히 보호되도록 만전을 기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