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강흥 (시인, 수필가) |
왜 우리 정치는 국민들이 납득 할만한 공천 심사를 하지 못하는가? 어떤 후보가 나와도 공개적으로 공천 심사를 해버리면 누구도 이의를 제기 하지 못 한다. 그런데 왜 위원장들의 장난으로 공천권을 가지고 주민들을 호도하는가? 그러면서 자신의 당에 표는 달라고 하는지 자신들의 심부름꾼을 뽑는 격이다. 이것이 뿔뿌리민주주의를 부르짖은 선거인가? 의심스럽다.
심지어는 그 지역 후보들도 많은데 지역 주민들이 알지도 못한 후보를 내세우는 경우는 무엇인가? 정말 어처구니가 없는 지방자치 선거이다. 그 지역에서 그 많고 많은 봉사 단체에서 봉사 한 번 하지도 않는 후보를 내세우며 지역을 위해서 봉사를 하겠다는 말이 나오는가?
그러니 그 후보가 당선이 되어도 지방자치 의원으로서 과연 그 지역을 위해서 뿔뿌리 민주주의를 자리 매김할 수 있도록 국민을 위해서 생활정치를 하겠는가? 지방자치가 실시 된지도 어언 30여 년이 지났는데 왜 이렇게 공정하게 공천을 가지고 주민 앞에 후보를 선보여야지 자신들의 사람이라고 후보를 지명하는 것은 엉터리이다.
세상은 급속도로 변해가는데 왜 유독 정치만 변화를 두려워 하는지 알 수가 없다.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뤄져야 할 선거가 후보부터 이런 식으로 선출된다면 누가 그 후보를 믿겠는가? 그리고 그 후보가 제대로 정치 활동을 하겠는가?
지방자치가 바르게 서려면 지방자치 후보 선출 부터서 올바르게 해야 한다. 그래야 모든 주민 앞에 당당하고 주민들과 생활정치를 제대로 수행할 수가 있다. 주민들이 인정하지 않는 후보가 당선 되면 결국에는 지방자치는 어렵다. 지방자치가 주민들의 생활과 연계되어있는 사안들이 많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다.
이제 우리나라도 모든 선거의 공천은 공정하고 투명하게 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정치판의 양극화처럼 매번 지역을 위한 일꾼 보다는 국회의원들의 심부름꾼을 뽑아주는 형태이다. 그래서 사실은 지방자치 의원들은 정당 공천을 배제 시켜야 하는데 자신들의 영달을 위해서 국회가 제도를 바꾸지를 않고 있다. 그러니 이 나라가 진정한 지방자치를 하려고 하는지가 의심스러울 때가 많다.
그러다 보니 지방자치가 공천도 부정이 많고 선거를 가지고도 문제를 많이 유발시키는 현실이다. 국민들은 어쩔 수 없이 지켜보고있지 좋아서 그런 것은 아니다. 좀더 성숙한 지방자치가 되어야 하는 것은 우리의 현실이다.
구가의 정치 개혁은 국회의원들부터 해야 한다. 그런데 자신들의 기득권을 가지고 정치개혁을 하지 않고 순간순간 국민들을 기만시켜서 시간만 끌고 간다. 그렇다. 그렇다면 결국에는 어떻게 되겠는가? 나라의 운명이 달려있는데도 아무도 걱정하지 않고 있다.
이 나라가 변하려면 국회의원들이 가지고 있는 기득권부터 내려 놓아야 한다. 이것이 첫째 정치 개혁의 첫 번째 관문이다. 나부터 변하지 않고 너부터 변화하라고 하는 것은 정치 개혁을 말로만 하고 변화는 두려워하는 사람들이다. 이제 우리도 정치가 선진국으로 가야 한다. 그러려면 선진국 정치인들의 정치 활동을 보고 배워라 이것이 우리 정치의 과제이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