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송전철탑 공사를 반대하는 주민들이 공사에 투입된 포크레인 차량에 앉아 공사 진행을 막고 있다. 사진제공 새만금송전철탑반대 공동대책위원회
|
[로컬세계 한차수 기자] 새만금송전철탑 공사를 놓고 군산시민과 한국전력이 갈등을 빚고 있다. 주민들은 한전이 군산국가산업단지의 전력량을 허위 발표해 공사를 강행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한전은 군산산단의 전력난이 심각해 하루 빨리 송전탑 공사를 진행해야 한다는 상반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새만금송전철탑반대 공동대책위원회는 지난 18일부터 단식을 하며 한전의 철탑공사 강행 근거가 희박한 점을 거론하며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군산산단의 전력난이 심각하다는 한전의 주장과 달리 지난 3년 동안 전력사용량의 증가가 전혀 없었다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한전이 20일 주민들을 찾아와 전력공급량에 관한 이야기를 하던 중 군산산단의 전력 사용량은 종합화학기업 OCI의 지중화 전력량까지 포함해 110만KW 정도로 3년간 변동이 거의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한전은 그동안 OCI의 지중화 전력량을 숨겨 전력사용량과 전력요청량을 가지고 착시 효과를 보이도록 선전해 왔다”며 “새만금 송전탑 건설의 원인이 됐던 OCI의 공장 증설 계획이 계속 연기되면서 이제는 군산산단의 전력 공급 방법에 대해 원점에서부터 다시 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대책위는 만경만 방수제 일원으로 노선 변경할 것을 한전에 요청한 상태다. 대책위에 따르면 만경만 방수제 일원이 새만금 매립지로 군산산단과 가깝고 2차선 도로가 깔려 있어 최적의 입지라고 강조했다. 단 현재 노선보다 5~6년 정도 시간이 늦춰지지만 현재 전력공급량이 부족하지 않은 상태임을 고려하면 기간 연장은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한전은 군산산단의 전력난이 심각한 상태로 하루 빨리 송전탑 건설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력 반발하고 있다.
현재 군산산단에 입주한 기업들이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등 군산-새만금 송전선로 건설의 조속한 추진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만경만 방수제 일원으로 선로 변경은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우며 우선 현재 선로인 옥구읍 등에 송전탑 등 선로를 건설하고 이후 국회 진상조사위원회 조사결과 대안노선이 확정되면 만경만 일원을 주선로로 하고 기존 노선을 임시노선으로 바꾸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