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순 대전대덕과학문화센터 재창조 추진위원장이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등으로 구성된 대전대덕과학문화센타 재창조추진위원회는 8일 대전시청 9층 기자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대덕과학문화센터의 고층오피스텔 재건축은 대덕특구의 환경을 보호하는 특구법이나 대덕연구단지 주요 과학인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다”며 “대전시와 유성구청의 방관과 건축허가로 대덕특구 설립취지가 무색해졌다”고 성토했다.
추진위는 “과학도시 대전, 그 중심에는 대덕 연구단지가 있다. 대덕 연구단지는 지난 40년간 대한민국 과학기술발전과 경제 산업 성장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이 곳에 고층건물이 들어서면 이같은 상징성은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대전대덕과학문화센터는 지난 2003년 목원대가 과학기술부로부터 교육사업의 일환으로 268억원에 인수했지만 교육시설로 제대로 활용하지 않고 10여년간 매각을 시도하며 흉물로 방치해 뒀다”고 성토했다.
추진위는 건축승인 과정에서의 문제점도 지적했다. “2014년 9월 목원대 측은 과학문화센터의 매각을 목적으로 대전시 건축심의위원회로부터 대덕과학문화센터 장소에 19층 등 2동의 오피스텔 건물 건축승인을 받았다. 건축심의위원회 위원 18인 중 대덕연구단지 과학인은 한명도 포함되지 않았고 3회 걸쳐 건축심의하는 동안 공고 또는 과학인들에게 알린바 없이 진행돼 지난 2015년 8월 목원대는 서울 건축업체와 470억원에 매매 계약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장인순 추진위원장(전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장)은 “시민들과 함께 과학문화를 누릴 수 있는 공간을 원한다. 과학 도시다운 풍모를 보여줄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달라”며 “과학특구의 환경을 해치는 고층 오피스텔 건립을 반대한다. 무분별한 개발을 즉각 중단 할 것과 과학벨트의 상징성을 살려달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