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적 복지보다는 선별적 복지 선호
[로컬세계 오영균 기자] 대전시민들은 민자유치와 지방채 발행 등 빚내서 하는 투자를 지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시는 지난 6월 1일부터 7월 20일까지 실시한 2016년도 예산편성을 위한 시민 설문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이번 설문은 온·오프라인을 통해 총 2230명의 시민이 참여했으며 ▲20대 16.8% ▲30대 23.6% ▲40대 31.6% ▲50대 23.6% ▲기타 4.4%이며 성별로는 남성 50.9%, 여성 49.1%이다.
조사 결과 시민들은 지방채 발행이나 민자 유치 등을 통한 투자확대보다는 재원 범위 내의 합리적 예산배분을 통한 투자를 원하고 있다.
투자를 가장 늘려야 할 분야로는 전년도에 이어 경제산업 분야(25.3%)를 선택해 여전히 경제활성화가 절실한 것으로 파악됐다.
▲교통건설(14.7%) ▲보건복지(13.2%) ▲자치·재난(13.1%) 등이 뒤를 이었다.
경제산업분야에서는 시민 35.8%가 일자리 창출확대를, 교통건설분야에서는 31.1%가 도시철도 2호선(트램) 건설을, 보건복지분야에서는 21.5%가 저소득층의 보호와 복지 사각지대 해소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복지정책에 있어 보편적 복지(39.6%)보다는 저소득층 및 취약계층에 대한 선택적 복지(60.4%)를 선택했으며 문화체육정책은 문화체육 행사 활성화(37.1%)보다는 문화체육 인프라 확충(62.9%)에 우선적으로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고 답했다.
시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내년도 예산편성에 적극 반영해 재원의 합리적 배분과 계획적 투자로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