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이과대학 명예교수 |
지역설정(地域設定 Regional setting)은 묘자리와 같은 작은 명당의 장소가 아닌 적어도 행정구적으로 알기 쉽게 말하면 리단위 군단위 도단위들로 구분되어있는 것을 국민을 위해 국가정책으로 설정해 국민에게 편리성을 주는 지역을 말하고 있다고 말하고 싶다.
우리는 길지를 선택하는 풍수지리학이 활발해진 것은 조선을 탄생시킨 이성계 왕이 도읍지 즉 국가의 정치 경제 문화로의 중심지를 선택하는데서부터 즉 명당을 찾아 도읍한 후로는 명당은 삶에 행복을 그리고 사후도 자신의 자손에게 발복이 온다는 것으로 풍수지리학(응용학문 즉 당시는 잡학이라 함)이 당시의 사람들에게는 대단히 큰 가치였다.
그 덕에 조선의 왕릉 등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으며 관광지로서의 선조의 혼과 전통적 사고를 전달할 수 있는 것 장소의 즉 조선의 묘지 경기도 구리시의 동구릉을 묘역으로 지정한 것 등이 역사속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길지 즉 좋은 장소는 계획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장소 또는 역을 설정해온 곳은 우리의 전통적 지역설정이며 그 명확한 학문적 강한 배경으로 가장 크게 설득력 있는 위치 선정이었다.
20세기에 들어 대한민국의 수도를 이전하는 것도 과거의 풍수지리학적 근거를 존중하여 선정하였기에 그 누구도 이의 제기를 못하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국가의 문화운명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행복가치를 주기위한 입지선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지역설정이다. 이시재는 과서 시대보다 더 구체적으로 지역설정 요인이 수시적분석으로 설정하는 것에 모두 긍정하는 것이 이 시대의 지역설정 방법이며 이는 과거시대의 풍수지리적 요인을 만족시키는 장소를 설정한 지역이므로 누구도 문제를 제기하지 못하나, 개인적으로 반대하는 것도 받아드리는 오늘의 지역설정의 최종 요인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이런 지역설정은 시대를 초월하여 오래오래 존재하는 것이다. 그것이 인류 문화역사이기도 하다.
조금 더 현실에 적용해보면 대한민국은 주변 국가로 둘러쌓여 있어 관계에 따라 불행, 행복이 엇갈리면서 왔다. 그래서 지정학적 위치는 대단히 중요한 것이라고 하는 이유가 바로 국가와 국가간은 강자존[强者存]이므로 약하면 존재 가치가 없고 강하면 원하는 것을 모두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지금 우리는 한반도 남쪽에 위치해 있으며 공산국가인 북한 중국 러시아이며 일본만이 자유민주주의 국가이다. 강한 국가는 음으로 양으로 자신들의 국가에 해가 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강하게 힘으로 누르고 있는 예는 우리가 맺은 미국과의 동맹이 우리를 방어해 주는 무기를 우리 땅 즉 지역설정에 이의를 제기하고 경제적으로 은근히 압박하여 때로는 강하게 압력을 가하는 것이다. 이런 현상이 싸드의 예에서 우리는 크게 압박을 받은 것은 우리 기업이 중국내에서 법적으로 활동할 수 없게 만드는 것을 우리는 보고 왔으며 그 지역 설정을 계속 문제 제기하는 것이 우리는 최적 지역 설정이다.
상대국은 최악의 자역 설정이라고 서로 다른 논리을 제기하고 있다. 이런 것이 지역설정이 나와 타의 관계에서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강자일 경우는 별 문제가 없지만 만약 약자가 지역 설정을 하면 정치적 타격을 강하게 받으면서 더 충돌을 피하기 위해 양보하는 것이 지역설정과 힘의 논리는 국가와 국가 간의 문제이다.
쉬운말로 지역설정에 따른 이해 득실은 먼저 그들이 처들어 와서 많은 인명과 재산을 파괴한 사람들이 우리를 구해주고 동맹을 맺어 보호해 주는 덕으로 오랫동안 평화롭고 행복하게 세계무역 12권에 들어가는 나라로 성장했다, 그래서 자신들에게 불리한 지역설정이라고 문제를 제기하고 경제적 압력을 가하는 것을 이길 수 없는 힘이라면 역사를 다시 반복될 수도 있으며 동맹국의 가치를 중시하는 지역설정이 크게 효과가 있어 공동의 이익을 취할 수 있는 것이기에 보다 편하고 행복하게 강자로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이과대학 명예교수. 땅물빛바람연구소대표. 한국갈등조정학회장. (사)해양문화치유관광발전회고문. New Normal Institute 연구소장. 구리시 미세먼지대응대책위원회 위원장.[mwchoi@konkuk.ac.kr]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