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강흥 (시인, 수필가) |
그러다 보니 생활 정치 보다는 정당 정치에 물들어서 지역의 일보다는 정당과 지역 위원장의 심부름꾼 같은 느낌이다. 이것이 말이 되는가? 지방자치는 누가 누구를 위해서 선출하는가?
기초의원들은 그 지역에서 오래 살면서 주민들과 더불어 봉사도 많이 하면서 터전을 닦아가는 일꾼들이 여야 한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정당과 지역 위원장들의 하수인이 되어 버렸다. 이것을 보면서도 주민들은 지켜 보고 지금까지 참아왔다. 그런데 국회는 변하지 않고 있다. 왜 그런가? 자신들은 돈 안 들이고 자신들이 편하게 움직일 수 있는 조직과 심부름꾼을 가진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기초의원들은 정당 공천을 없애는 방향을 국회가 논의한 적도 있으며 그 순간이 지나면 갈 때 까지 가면서 눈치 보자 하는 식으로 가고 있다. 왜 자신들의 이익만 생각하는 국회의원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국가와 구민을 위한다는 말은 대중가요처럼 부르짖는다. 이것이 본색이 들어나는 정치인들이다.
진정 나라와 국민을 위한다면 작은 것에서부터 아끼고 근검절약하는 모습을 정치인들부터 솔선수범 해야하는 것이다. 이것이 나라를 위하는 길인데 자신들이 먼저 앞장을 서서 모범을 보이지는 않고 너부터 하라는 식이다. 이게 대한민국 국회이고 정치인들이다. 그러니 국민들이 누굴 믿겠는가?
나라가 잘 되려면 무슨 일이든 지도자와 정치인들 그리고 심지어는 사회 지도층 인사들이 나부터 솔선수범하여 앞장서서 모범을 보여야 한다. 그런데 과연 이 나라가 그러는가?
지금 정치판에 계속 터지는 성비유 문제로 정치인들이 연류 되어 제명까지 당하는 꼴을 보면서 국민들이 웃는다. 모당 정치인들이 법적 조치로 망신을 당하는 꼴을 보고서도 정신을 못 차리는 정치인들이 과연 양심 있는 정치를 할 수 있을까? 의심스러울 때가 많다.
세상을 살면서 정치 지도자가 되려면 누구나 남을 배려하고 이해하면서 자신을 희생하며 봉사하려는 마음가짐은 없고 자신이 그 자리에만 앉으면 자기가 하고 싶은데로 하는 것이 권력인가? 묻고 싶다. 선출해준 국민들은 안중에도 없고 자아도취에 빠져서 세상을 거꾸로 살려고 한다.
이것은 배고픈 시절에 엉터리 정치로라도 달래주던 시절의 정치다. 못 배우고 가진 것이 없으니 정치에도 관심도 없던 시절은 그랬다. 아니 관십도 없었다. 지금 우리나라는 경제선진국으로 진입하여 세계가 지켜보고 있다. 그런데 정치는 아직도 후진국 수준이다. 이것이 말이 되는가?
국민들의 의식구조부터 변해야 한다. 정치적으로 문제가 생긴 후보는 영구히 정치판에서 퇴출 시켜야 한다. 정당에서 공천을 주어도 유권자들이 그 전력을 가지고 선출해주면 안 된다. 그래야 각 후보들의 부정부패도 없어지고 올바른 인재들을 골라서 선출하는 방식이다.
아무쪼록 이제는 유권자들이 지나치게 과거에 매달려 1번 아니면 2번만 선출하는 시대는 바꿔야 한다. 무소속으로 나와도 인재를 선출하여 지방자치를 올바르게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