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 마나미 기자] 최근 환자들이 신우신염을 단순 감기나 몸살로 오인해 치료 시기를 놓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신우신염은 초기 증상이 발열, 오한, 피로감 등 일반적인 감기와 유사하지만, 사실 세균이 신장까지 침투해 발생하는 심각한 요로 감염 질환이다. 치료 시기를 놓치면 패혈증, 신부전 등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가장 흔한 신우신염의 원인은 상행성 요로 감염이다. 전체 환자의 80% 이상이 방광염에서 세균이 거슬러 올라와 신장에 도달하며 발생하는데, 원인균 대부분은 대장균이다. 드물지만 혈행성(혈액을 통한) 감염도 가능하다. 피부 농양과 심내막염, 패혈증 등 다른 부위의 감염이 혈류를 타고 신장에 침투하면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요로결석·선천적 기형·전립선비대증 등 비뇨기계 구조적 이상으로 소변 흐름이 막히면 세균이 쉽게 증식한다. 당뇨병 환자, 항암 치료 중인 환자, 장기 면역억제제 복용 환자 등 면역력이 약화된 환자에게도 신우신염 발병 위험은 증가한다.
생활습관 측면에서는 배뇨 지연, 수분 섭취 부족, 과도한 땀 배출로 인한 탈수가 요로 감염의 촉발 요인이다. 대표 증상은 고열, 오한, 옆구리 통증, 구역·구토, 배뇨통이며 초기에는 감기 몸살과 혼동하기 쉬워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는 사례가 많다. 그러나 신우신염을 방치하면 패혈증, 신장 기능 저하, 만성 신부전 등으로 악화될 수 있다.
신우신염은 여성 발병률이 더 높은데 여성 요도가 남성보다 짧아 세균이 쉽게 침투하기 때문이다. 또한 당뇨병 환자와 임산부, 고령증, 면역 저하자는 고위군으로 분류되며 고위험군은 증상이 경미해도 적극적인 진료와 치료가 필요하다.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신장내과 이효상 전문의는 “신우신염은 흔히 단순 요로 감염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 신장까지 세균이 확산된 심각한 상태로 빠르게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지 않으면 패혈증으로 진행돼 생명까지 위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전문의는 이어 “예방을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 섭취, 배뇨 후 청결 유지, 잔뇨 제거 등 올바른 배뇨 습관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신우신염 치료는 보통 7~14일간 항생제 복용이 필요하다. 고열, 구토로 경구 복용이 어려운 경우 입원 치료와 정맥 항생제 투여가 요구된다.
드물게 농양이 형성되었다면 추가시술로 배액술이 필요하다. 한편, 치료 후 재발을 막기 위해 생활습관 교정과 반복적인 감염이 발생할 때는 비뇨기계 구조 이상에 대한 정밀 검사를 해야한다.
국내 의료계는 여름철과 환절기에 신우신염 환자가 증가한다고 설명한다. 땀 배출로 인한 탈수와 수분 섭취 부족이 요로 감염 위험을 높이기 때문이다. 신우신염은 흔히 가볍게 여겨질 수 있지만, 방치할 경우 생명까지 위협하는 위험한 질환이다.
이효상 전문의는“작은 증상이라도 방치하지 말고 조기에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예후를 좌우한다”며, “특히 고위험군 환자는 생활습관 관리와 정기 검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