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명예교수 |
물론 지금도 발전하는 것을 따라가지 못해 평생 사용법을 배워야 그런대로 손자들과 통화 가능한 것이 오늘의 세상이다. 그러므로 이런 현상을 젊은이들은 재미로 본다면 나이 드신 노령인구는 큰 걱정이며 물어볼도 못하고 있는 형편이라서 아 에 핸드폰을 안 가지고 나가는 것이 오히려 대응이 편안하고 자신이 사진을 높게 평가하고 힘내어 살아가면서도 한번 부정적으로 생각하면 전화가 무섭고 긍정적으로 생각 하기 위해 교육을 받으면 긍정적 가정이 되어 활기 왕성하지만 아들이 사준 핸드폰이 오히려 실망을 하는 감정이 들어 발전 화는 첨단 과학이 오히려 무서운 것이 되었다.
젊은이들 HSP 자기긍정감이 곤두박질 때는 자폭하는 마음으로 교육을 기억하고 내가 손자 보다 핸드폰을 잘 사용하면, 그런 마음 즉 자기 긍정감이 강하면 첨단 과학문명 시대에 즐거움이 오지만 부정을 하면 살맛이 나지 않고 사사건건 비교하여 그 보다 나는 잘 모른다는 것 때문에 즉 자기 긍정감을 손자만도 못해 그래서 손자한테 물어 보면 그래서 친구에게 물어도 그도 캄캄 자기 긍정감을 평가하지 못하는 것, 보기는 근사한데 마음은 친구보다 난 못한 것 같다라고 생각하면 자기 긍정감에서 상대를 상위로 평가하면 한발짝도 아니 핸드폰이 무서워 외출 때 집에 꼭꼭 숨겨놓고 나가면 아이들이 찾아 할아버지가 어디 계신지 식사 하시라고 전화 못해 집에 있는 전화 상태로 나타나는 것을 처음에는 잊어버리고 나가셨나 보다 했는데 날이 갈수록 더해졌다.
자세히 생각하니 핸드폰이 무서워서 그러는 것이라고 판단되어 할아버지의 마음에 상처가 가지 않게 할아버지 핸드폰 밧데리가 다 나간나 봐요 제가 충전 해 드릴께요. 그러면 응 여기 있다 하면 충전해 드릴 때 자세히 알려드리고 할아버지와 통화할 수 있는 방법을 연습하면 할아버지께서도 자신감이 나서 핸드폰이 무섭지 않게 되는 것은 손자의 힘이다.
사람들은 우리의 전통적 예법에 밝은 사람도 있지만 전혀 캄캄한 사람도 많다. 사람은 항상 자신의 주변 사람들과 비교하는 것이 특징이다. 물론 상대는 전혀 모르지만 그것은 개인이 주변의 친구를 대단한 사람이라는 평가 또는 그놈 별거 아니야 하는 마음속에서 하는 것 그것이 HSP(자기긍정감)은 자신이 첨단 과학시대를 살아가는데 필수였던 것이 과학적인 것을 잘 아는 사람과 전혀 잘 모르는 사람이 친구를 평가할 때 자기중심으로 나보다 못해, 나보다 같아, 나보다 전혀 못해 등등 즉 자기를 중심으로 상대를 평가를 긍정적으로 또는 긍정적과 부정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생활하면서 자기긍정 마음은 대단히 중요한 생각이며 미래의 가치이기도 하다.
첨단과학문화 시대에 상대를 평가하는 것은 내 맘이지만 HSP에 민감한 사람은 친한 친구보고 너는 나보다 안되어야 해 라는 상대가 정신적 상처를 주어 자신보다 능력이 없게 즉 자기긍정 감을 상하게 하는 사람이 되어 친구를 나보다 안 되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대응하고 있다면 이것이야말로 자기긍정감이 문제가 있는 것이며 그렇치 않고 상대를 정확히 알리면서 자기 긍정감을 평가하여 해나가는 즉 자기 긍정감으로 향복한 생활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만약 친구보고 너는 나보다 훨씬 머리도 좋고 노력도 해서 명문대학을 졸업했으니 앞으로 좋은 일이 있을거야 하는 것과 야 너 뭐가 잘났다고 이상한 소리하냐? 하는 것과 엄청난 차이가 나면 상대는 자기긍정감이 문제가 된다.
사람이 살아가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사람과 사람사이에 즉 친구와 나 사이에 등 상대를 마음속으로나마 평가하여 자기 긍정감을 높이거나 낮추는 것을 잘 할 수 있어야 생활에 돌출되지 않고 평범하게 생활하므로 목적을 이룰 수 있지만 그러하지 않으면 삶이 고달 프고 부정적이라고 생활에 문제가 된다,
어느 사람은 자기긍정감에 민감한 기질의 사람이라면 HSP를 정확히 평가하는 습관이 붙으면 생활하는데 즐거움이 앞서 가게 된다. 그러므로 상대의 HSP를 불확실하게 하므로 감수성이 강하고 민감한 기질의 사람은 자기 긍정감(HSP)를 조정하므로 아름다운 생이 될 것이라고 예측 합니다.
대단히 감수성이 강하고 민감한 기질의 사람은 다음과 같은 처리 방법을 스스로 해야 할 것이다.
1. HSP를 바르게 이해하여야 한다.
2. HSP를 즐겁게
3. 현재의 생활환경을 바꾼다.
4. 타인과의 관계를 거리를 둘 것,
5. 자극적인 것을 차단,
6. 자신을 돌볼 것,
7. 이해 자를 찾기,
8. 이해 자라고 너무 기대 하지 말아야 한다. 등을 스스로 하면 문제를 해결 한다. 그러므로 친구보고 너는 나보다 더 잘 되기를 기원한 다리로 바뀌는 사람이 되면 귀하는 대단히 멋진 HSP 사람이 될 것입니다.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명예교수(Professor Emeritus, Moowoong Choi, Ph.D,Konkuk University). 구리시 미세먼지대응대책위원회 위원장. 땅물빛바람연구소장.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