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세계불교승가연합 총재 상산 |
2024년은 갑진년 청용의 해이다. 용기와 비상, 희망의 상징으로 인간 삶에 이로운 존재로 군림해 온 용. 2024년 갑진년(甲辰年)은 간지로 용의 해이며 60년 만에 오는 청룡의 해이다. 청룡은 오행사상과 관련해 청용(青龍)은 동쪽을 상징하며, 푸른색의 비늘과 날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청용은 봄의 시작과 새로운 출발을 상징하며, 풍요와 번영을 가져다줄 수 있는 용의 형태다. 청룡의 새해 벽두부터 좋은 기운이 팽배해지리라는 기대가 한껏 분출된다.
12간지 띠 동물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생활풍습이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그림이나 장식에서 흔히 나타나는 용은 원래 중국에서 만들어진 상상의 동물로서 화려하기 그지없다.
처음부터 중국에서 황제를 상징하는 절대권능의 동물이었다. 세간에서 범접하기 어려운 차상의 영역에 존재하는 중국형이 한국에서는 초월적인 힘과 능력을 지닌 동물로 자리 잡아 권선징악을 주재하는 세간의 친숙한 존재로 자리했다. 결국 그런 고귀함과 친숙함이 합쳐져 세시를 맞아 용의 기운을 받아들임으로써 운수대통하기를 바라는 염원을 상징하며 그림에 즐겨 담긴다. 천변만화의 능력으로 묘사되는 용은 사찰 법고에 잘 그려져 있다.
영괴(靈怪)함을 나타내는 구름과 용의 조화를 통해 운륭도는 법고 소리가 중생을 깨침에 이르게 하는 미묘한 법음으로 상징화됐다. 실제 민화그림 속의 용은 다양하기 그지없다. 또 변형도 자유자재다. 용을 닮은 ‘포뢰’와 비늘이 있는 ‘교룡’ 물에 친화적인 ‘청룡’ 싸움의 대명사 ‘기룡(夔龍)’에다 심지어 울기 좋아하는 ‘명룡’도 있다. 그림에서 ‘기룡’은 용의 우두머리이고, 중국의 <산해경>에는 “기룡의 가죽으로 만든 북을 치면 500리 까지 들리다”는 기록에 미뤄, 법고의 ‘운륭도’에 그려진 용이 ‘기룡’으로 통상 해석된다.
벽사의 의미가 담긴 귀면이나 부적 따위가 이의 표증이다. 초월적인 힘의 화신인 용으로 하여금 악한 것을 물리치고 선한 것을 불러들이는 벽사의 역할을 기대하는 이미지도 그렇게 각인됐다.
흑룡, 적룡, 백룡, 청룡, 황룡은 중국, 한국. 일본 동남아 신화에서 나오는 다섯 마리의 용입니다. 서양의 설화에도 용은 나온다. 각각의 용은 다른 역할과 의미를 가지고 있다.
흑룡은 물의 신성한 용으로, 비와 물의 힘을 상징합니다. 농업과 물 관련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적룡은 불의 신성한 용으로, 불과 열기의 힘을 상징합니다. 화재와 열기 관련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백룡은 바람의 신성한 용으로, 바람과 공기의 힘을 상징합니다. 기후와 바람 관련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청룡은 나무의 신성한 용으로, 자연과 생명력의 힘을 상징합니다. 자연과 생태 관련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황룡은 토양의 신성한 용으로, 대지와 토양의 힘을 상징합니다. 땅과 토양 관련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다섯 마리의 용은 중국, 한국, 일본 신화와 문화에서 중요한 상징적인 역할을 하며, 각각의 특성과 의미는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
오룡은 다양한 자연 요소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머리가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는 오룡은 다음과 같은 자연 요소와 연관이 있다.
오룡의 한 머리는 땅을 상징한다. 땅은 안정과 풍요를 나타내며, 땅의 힘과 에너지는 오룡의 힘과 연결되어 있다. 오룡의 다른 머리는 물을 상징한다. 물은 생명의 근원이며, 흐름과 유동성을 나타낸다. 오룡은 물의 힘과 깊이를 상징하며, 물의 흐름과 조화를 나타내기도 한다.
또 다른 머리는 불을 상징한다. 불은 열기와 열정을 나타내며, 활력과 에너지의 상징이다. 오룡은 불의 힘과 열기를 가지고 있으며, 열정과 힘찬 에너지를 상징하기도 한다. 또 다른 머리는 바람을 상징한다. 바람은 자유로움과 가벼움을 나타내며, 자연의 흐름과 움직임을 상징한다. 오룡은 바람과 공기의 힘을 가지고 있으며, 바람의 자유로움과 조화를 나타내기도 한다.
마지막 머리는 하늘을 상징한다. 하늘은 넓고 무한한 공간을 나타내며, 높은 곳에서의 전망과 권위를 상징한다. 오룡은 하늘과 연결되어 있으며, 높은 곳에서의 힘과 권위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렇게 오룡은 다양한 자연 요소와 연관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자연의 조화와 균형을 상징한다.
그래서 우리 인간은 오룡의 의미와 인간의 덕목과 일치한다고 본다. 인(仁)은 측은지심(惻隱至心)으로 불쌍한 것을 가엽게 여겨 정을 나누는 마음이고, 의(義)는 수오지심(羞惡至心)으로 불의를 부끄러워하고 악한 것을 미워하는 마음이고, 예(禮)는 사양지심(辭讓至心)으로 겸손하여 남을 위해 사양하고 배려하는 마음이고, 지(智)는 시비지심(是非至心)으로 옳고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음이고, 신(信)은 광명지심(光名至心)으로 중심을 잡고 가운데 바르게 서 밝은 빛을 냄으로 믿음을 주는 마음이라 생각한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