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 마나미 기자]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생기는 급성 뇌손상 질환으로 갑작스럽게 발생한다. 뇌는 산소와 영양분을 혈액을 통해 공급받기 때문에 혈류 장애가 생기면 매우 짧은 시간 안에 뇌세포가 손상된다. 뇌졸중의 중요한 증상은 편측 마비다. 얼굴과 팔, 다리 한쪽이 갑자기 힘이 빠지거나 마비된다.
뇌졸중은 뇌 손상의 부위와 정도에 따라 후유증이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중추신경계(뇌 또는 척수)에 손상이 생기면 경직(spasticity)이라는 후유증이 흔하게 생긴다. 환자들은 '팔다리가 늘 당겨져 있는 것 같다, 근육에 힘을 빼고 싶어도 계속 힘이 들어가 있는 느낌'이라고 경직을 표현한다. 경직은 뇌졸중 환자 20~40%에서 나타나며, 뇌졸중 후 경직은 보통 마비가 있었던 쪽(병측)에서 나타난다.
앉아 있는 사람의 무릎뼈 바로 아래를 가볍게 두드리면, 허벅지 앞 근육이 순간적으로 늘어나 반사적으로 무릎이 올라간다. 이는 대표적인 '심부건반사'의 예로, 원래는 이 심부건반사가 뇌에서 적절히 제어되는데 뇌졸중으로 그 제어가 약해지면 과장된 반사가 나타난다.
이로 인해 자신의 의지와 관계 없이 근육이 뻣뻣해지고 긴장도가 증가한다. '근육이 뻣뻣하다'는 관절염이나 골절 후 관절이 굳어 움직이지 않는 관절 구축과는 구별되는 증상으로 일상생활이나 보행이 어려워지고 통증까지 유발한다.
날씨가 추워지면 근육이 더 뻣뻣해지는 경향이 있다. 추위에 노출되면 근육이 자연스럽게 수축하고 긴장하려는 반사작용이 생겨 경직이 악화될 수 있다. 또한 추운 날씨는 말초 혈관을 수축시켜 혈류가 줄어들고, 이로 인해 근육의 뻣뻣함과 불편함이 심해진다. 추운 계절에는 해당 부위를 따뜻하게 유지하고, 아침과 저녁으로 근육을 풀어줘야 한다.
경직이 아주 경미하다면 오히려 골다공증을 방지하거나 체중 지지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경직으로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울 때 △옷 입기, 세수, 걷기 등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때 △관절 변형 또는 구축 위험이 있을 때 △지속적 경직으로 욕창, 혈액순환 장애가 발생할 때 △보행 시 안정성이 저하될 때는 치료가 필요하다.
세란병원 신경과 이한상 과장은 "뇌졸중 후 경직이 있을 때에는 먼저 경직을 유발하는 원인을 살펴야 한다. 관절 통증, 피부 병변, 꽉 끼는 옷으로 인한 압박 등을 해결해도 경직이 지속되면 병원을 찾아야 한다"며 "단순한 뻣뻣함을 넘어 손발이 점차 굳어가고, 혼자 생활하는데 어려움이 생길 경우 치료해야 할 신호"라고 강조했다.
이한상 과장은 "경직은 완전히 없애기보다는 기능 회복을 돕고, 불편을 줄이는 것이 목표다. 스트레칭과 관절운동 등 재활치료를 시행하고 필요한 경우 경구약과 국소주사로 약물치료를 한다"며 "뇌졸중 후 경직은 뇌 손상으로 인한 근육 긴장 조절 실패로 생기는 증상이며 조기 발견과 꾸준한 재활이 예후에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