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6일 대전역광장에서는 충청권 시·도민 5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조성 사수를 위한 대규모 궐기대회가 열렸다. |
-
연초 이명박 대통령이 과학벨트를 충청권에 조성한다던 공약을 백지화 하는듯한 발언을 한 이후 충청권의 반발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 사수를 위한 대규모 충청권 3개 시·도민 결의대회가 16일 오후3시 대전역광장에서 열렸다.
과학벨트 대선공약이행 범충청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 주최로 열린 이날 대회는 이 대통령의 공약이행을 위한 충청권의 염원과 결집력을 재확인하기 위해 열렸으며, 염홍철 대전시장을 비롯한 안희정 충남지사, 이시종 충북지사 등 3개 시·도지사와 의회 의장, 기초자치단체장, 충청지역 출신 국회의원, 시·도민 등 5000여명이 참석했다. -
이날 대회는 본격적인 시작에 앞서 최근 대지진과 쓰나미로 엄청난 피해를 입고 있는 일본을 위로하는 묵념에 이어 만장 50개, 머리띠 5000개, 손팻말 5000개, 전단지 1만부, 연합풍물패 등이 동원돼 분위기를 한껏 고조시켰다.
이상선 충남비대위 대표와 이상덕 대전비대위 대표는 각각 대회사와 투쟁사를 통해 “대통령의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에 대한 백지화발언으로 500만 충청권 시도민들의 정신적 충격과 배신감은 이루 말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지난 세종시 원안사수를 위한 지난한 싸움을 승리로 이끈 것처럼 이번에도 과학벨트 사수를 위해 끝까지 투쟁하겠다”고 말했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과학벨트 입지를 법대로 하겠다는 정부의 입장에는 과학벨트 위원들을 정부 마음대로 선정하겠다는 함정과 특별법에는 빠져있는 과학벨트의 핵심시설인 중이온 가속기를 넣지 않거나 국가균형발전을 이유로 분산 배치 할 수 있다는 함정이 내재돼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시종 충북지사와 안희정 충남지사도 “과학벨트 입지는 지진과 해일의 가능성이 있는 곳은 절대 안되고 충청입지뿐 아니라 과학벨트 원안(핵심시설 집적화)이 관철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며 “더 이상의 국가적 혼란과 분열을 막기 위해서라도 당초 계획대로 충청권에 조성해야 한다는 점을 전국민께 호소드린다”고 말했다.
대회에 참석한 시·도민들은 ‘대선공약 이행하라’, ‘과학벨트 사수하자’ 등을 외치며 대전역에서 충남도청까지 가두행진을 벌여 시민들에게 과학벨트 사수의 당위성을 홍보했다.
한편 이날 대회를 주최한 비대위는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를 관찰시키기 위해 충청권 3개 시·도 사회단체들로 구성됐으며, 14일 충남도청 기자회견장에서 충청권 3개 시·도 상임공동대표 비롯해 공동집행위원 등 10여명이 참석해 한시적인 연대조직으로서 출범을 선언했다.
비대위는 이날 대국민호소문을 통해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이란 이 대통령의 공약 이행만이 지역갈등과 국론분열로 인한 국가적 혼란사태를 극복하고 국정신뢰를 회복하는 유일하고 상식적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과학벨트 유치전에 뛰어들고 있는 비충청권 주민들에게 “과학벨트 충청권입지의 당위성 주장과 논거는 단순히 대선공약이기 때문에 이행하라는 지역이기주의에 바탕을 둔 것이 아니다”라며 “국가적 사업인 과학벨트의 본질을 제대로 판단해달라”고 호소했다.
비대위는 16일 대전역광장 결의대회에 이어 18일 대전시청에서 과학벨트 충청권입지를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고, 이달말까지 범충청 시·도민 500만인 서명운동을 전개해 다음달 심의를 앞두고 청와대와 국회를 방문, 서명서를 전달할 계획이다. 또 다음달 중순경 범충청권 시·도민 1만여명이 참석하는 궐기대회를 청주체육관 앞 광장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로컬대전 = 정해준·오영균 기자 j4111·gyun507@segye.com
- 기사입력 2011.03.21 (월) 12:06
- [ⓒ 세계일보 & local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