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에서는 1600여 가구의 상도 엠코타운 센트럴파크 아파트가 오는 9월 입주를 앞두고 있다. 사진은 상도 엠코타운 전경도. |
-
현대차그룹 계열 건설사인 현대엠코가 전국에 주택조합 아파트를 공급, 집중 공략에 나선다.
현대엠코는 서울 상도 엠코타운을 시작으로 경기, 충·남북, 전북, 울산 등지에 지역주택조합 아파트를 집중 공략한다고 18일 밝혔다.
현대엠코가 공급하는 아파트는 대부분 중소형 지역주택조합으로 전국 총 6,000가구 규모다.
서울에서는 1600여 가구의 상도 엠코타운 센트럴파크 아파트가 오는 9월 입주를 앞두고 있다.
지역별로는 서울 동작구 상도동의 ‘상도 엠코타운 센트럴파크’와 ‘상도 엠코타운 애스톤파크’ 총 2,441가구 대단지 지역주택조합 아파트를 시작으로 진행된다.
이외에도 안양시 석수동(239가구), 충남 당진(855가구), 전북 전주시 평화동(510가구), 군산시 지곡동(956가구), 울산시 강동산하지구내(696가구), 충북 청주시 영운동(400가구) 등이 순차적으로 이뤄진다.
지역주택조합 아파트는 같은 지역에 살고 있는 무주택 주민들이 ‘내집 마련’이란 공동 목표를 위해 조합을 설립하고, 조합이 사업주체가 돼 직접 토지를 매입한 후, 아파트를 짓는 방식이다.
지역주택조합 아파트는 일반 분양사업에 비해 규제가 적고 분양가가 싸다는 점에서 최근 주택을 구입하는 실수요자들의 커다란 관심을 받고 있다.
또 사업추진 속도가 빠르고, 토지매입 등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인한 금융비용 부담이 거의 없다. 수요자 입장에서는 청약통장이 필요 없으며, 정식 분양 절차를 거치지 않고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대엠코 주택본부 관계자는 “부동산시장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분양가가 저렴한 지역주택조합이 실수요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며 “토지매입과 조합원 모집이 완료되는 조건으로 사업에 참여하기 때문에 금융비용 등 리스크 부담이 거의 없다”고 밝혔다.
현대엠코는 지난 2005년 ‘엠코타운’ 브랜드로 주택시장에 진출한 이후 아파트, 주상복합, 오피스 등의 사업을 활발히 추진해 왔다.
최근에는 틈새시장인 지역주택조합 아파트 참여를 늘리며 엠코타운 브랜드 위상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윤종우 기자 ydsikk@segye.com
- 기사입력 2012.06.18 (월) 17:23, 최종수정 2012.06.18 (월) 17:22
- [ⓒ 세계일보 & local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