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도별 노인인구 수 추이. 2008년 전국 평균보다 낮았던 부산시 노인인구 비중은 2014년 현재 전국평균보다 1.38%p 높게 나타났다. |
[로컬세계 맹화찬 기자] 부산의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2월 말 기준 49만 8546명으로 전체인구 356만 1526명 가운데 14%를 차지해 고령사회로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엔에서 정한 고령화사회 기준에 따르면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비율이 7% 이상 14% 미만인 경우를 고령화사회, 14% 이상 20% 미만일 때를 고령사회, 20% 이상일 때를 초고령사회라 부른다.
이번에 부산이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14%에 도달함에 따라 전국 7대 특별·광역시 중 가장 먼저 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됐으며 전국 광역 시·도중 전남, 경북, 전북, 강원, 충남, 충북에 이어 7번째이다.
부산은 2003년 노인인구가 7%를 넘어섰고 2015년 2월말 14%에 도달한 셈이다. 이런 추세로 가면 2022년쯤에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우려된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고령사회에 대비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 차질없이 추진해 어르신들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환경조성을 위해 다양한 시책을 시행할 예정이다.
주요시책으로 ▲지역밀착형 노인복지 인프라 확충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생활 지원 ▲편리하고 활력 있는 고령 친화도시 조성 등에 나선다.
![]() |
▲부산시가 노인복지 인프라 확충을 위해 조성한 다사랑복합문화예술회관. 오는 6월경 개관할 예정이다. |
우선 노인복지 인프라 확충을 위해 어르신들의 여가생활을 위한 다사랑복합문화예술회관 개관 등 노인복지관 확충 및 경로당과 노인교실 활성화를 지원한다.
다사랑복합문화예술회관은 노인의 여가, 문화 등 복합적 노인복지 공간조성을 위해 마련됐으며 오는 6월경 개관할 예정이다.
노인복지관도 올해말까지 23개소로 늘릴 예정으로 2009년 12개소, 2010년 16개소에서 소폭 증가한다.
여기에 노인복지관을 비롯해 경로당, 노인교실 운영비를 지원한다. 노인복지관 23개소에 108억원, 경로당 2235개소에 166억원, 노인교실 175개소에 5억원을 지원해 노인돌봄 서비스 등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연계하고 경로식당을 운영해 식사를 제공한다.
응급안전시스템 구축,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설치, 양로시설 기반 확충 등도 이뤄진다.
시는 어르신들이 은퇴 후에도 삶과 문화를 재창조하는 주역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 제2의 인생 설계 및 활동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저소득층 노인의 소득지원을 위해 일자리 사업을 확대하고 기초연금 지급, 노인 장기요양보험 의료급여 지원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어르신 36만 9000명에 대한 기초연금으로 7987억원을, 2만 5400명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505억원을 투입한다. 장기 요양보험의 지원을 지난해 413억원에서 470억원을 늘린다.
고령사회에 대한 대책도 마련한다. 시는 올해 고령친화도시 조성계획 수립 및 기반 구축을 구축하고 내년 고령고령친화도시 실행계획 수립 및 세계보건기구(WHO) 고령친화도시 네트워크 가입을 추진한다.
고령친화사업 육성을 위해 오리산업단지 내 3만1000㎡ 부지에 6개 기업을 유치할 계획이며 오는 6월 26일부터 28일까지 제8회 복지 재활시니어전시회를 개최한다.
시 관계자는 “2년 뒤인 2017년에는 대한민국 고령인구가 14% 이르는 만큼 모두 공감하는 현실적 지혜가 필요하고, 국가적인 고령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