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5.~8.17. 부산근현대역사관 본관 지하 1층에서 열려

[로컬세계 = 김의준 기자] 부산시 근현대역사관(이하 역사관)은 25일부터 8월 17일까지 본관 지하 1층 금고미술관에서 <신선한 유산, 예술로 미래를 열다> 기획전(展)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기획된 이번 전시는 오늘날 부산역사의 근간이 된 ‘피란수도 부산유산’을 현대미술의 시선으로 새롭게 해석해 소개한다.
이번 전시에 참가한 9명의 현대미술가는 각자의 독특한 예술 언어와 기법을 사용해 근현대 역사가 현대미술의 흐름 속에서 적응, 변형되며 재생산될 수 있는지를 보여줄 예정이다.
전시는 크게 3부로 구성되며, 9명의 작가가 9곳의 피란수도 부산유산을 다각적으로 탐구해 접근했다.
전시는 ▲〈1부 : 삶의 터전, 좁은 땅 위에 생명〉(김제원_우암동 피란 주거지, 여상희_아미동 비석 피란주거지, 김서량_부산항 제1부두) ▲〈2부 : 국제 협력, 평화를 위한 지원과 희생〉(구지은_유엔묘지, 김유경_하야리아기지, 유은석_미국대사관 겸 공보원) ▲〈3부 : 피란수도, 국가와 정부의 지속성〉(김유리_국립중앙관상대, 박지원_임시중앙청, 금진_경무대)로 구성된다.
<1부 삶의 터전, 좁은 땅 위에 생명>은 6.25 한국전쟁 당시 부산이라는 한정된 도시에서 100만여 명의 실향민을 품으면서 발생한 ‘좁은 땅 위에 생명’에 대한 이야기로 긴박한 상황 중 낯선 곳(우암동 소막 피란주거지, 아미동 비석 피란주거지)에 정착할 수밖에 없었던 피란민들의 거주 환경과 생업의 발판(부산항 제1부두)을 중심으로 한 삶의 터전 이야기를 김제원, 여상희, 김서량의 작품으로 구성했다.
<2부 국제 협력, 평화를 위한 지원과 희생>은 전쟁의 위기에서 대한민국 평화를 수호하고자 했던 유엔과 정부, 시민의 상호 공조에 대한 이야기로 유엔묘지, 하야리아 기지 그리고 미국대사관 겸 미국공보원을 구지은, 김유경, 유은석의 작품으로 구성했다.
마지막 <3부 피란수도, 국가와 정보의 지속성>은 전쟁의 위기 속에서도 지속적인 국가 운영을 위한 임시 정부 기관에 대한 이야기로 국립중앙관상대, 임시중앙청, 경무대를 김유리, 박지원, 금진의 작품으로 구성했다.
아울러, 이번 전시와 연계해
5, 6, 7월에는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한 전시 연계 프로그램 〈VVIP 금고투어 : 작가와의 대화〉를 개최한다.
참가 예술가와의 진솔한 대화와 음악 공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준비되며, 참가자 모집은 역사관 누리집을 통해 별도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오는 8월 15일과 16일에는 역사관 일원에서 개최 예정인 <2025 피란수도 부산 문화유산 야행(夜行)>과 연계한 행사도 준비하고 있다.
전시 및 프로그램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역사관 누리집(www.busan.go.kr/mmch)을 참고하거나 역사관(☎ 051-607-8044)으로 전화 문의하면 된다.
김기용 부산근현대역사관장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목록인 '피란수도 부산유산'이 이번 전시를 통해 더욱 널리 알려졌으면 한다”라며, “이번 전시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공식 등재를 위한 마중물 역할이 되기를 기원한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