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
물론 전문직에 근무하는 사람들이라고 고용의 안정이 마음 놓고 사는 세상은 아니다. 이제는 경쟁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자신이 스스로 깨우치고 노력하지 않으면 직장을 잃고 삶의 의미까지 힘들게 살아남기 쉽다. 그러다 보니 정부도 개인도 노동력의 가치만큼 일자리가 그렇게 쉽게 열리는 사회는 갈수록 힘들다.
거기다가 사업주들의 경제력 향상도 노동자들의 노조 활동으로 갈수록 힘든 사업이 되어 버렸다. 집단 노조 활동이 우리 사회에 이제는 걸림돌이 되어 정치적 노동조합은 이제 자제시켜야 한다. 과거처럼 노동자들의 인권과 급여 문제로 고민하는 기업은 없다. 다만 노동자들의 정치적 노조 활동이 오히려 기업에 피해를 끼친다. 그렇기 때문에 민주노총처럼 정치 노조 활동은 정부가 어느 정도는 규제시켜야 한다.
노동자들은 잘못 생각으로 이 나라에 일자리가 없으면 자신은 어디서 무엇을 할 것인가? 생각하며 알고 있는가? 그렇다면 이제는 시대에 맞게 노사가 서로 손을 잡고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일조를 해야 기업이 살아남는다. 기업이 잘되어야 일자리는 늘어난다. 그런데 투쟁만 하는 기업에 일자리가 늘어나겠는가? 생산성이 낮아지면 결국에는 기업도 도산 한다. 이걸 바라는가?
우리 대한민국에는 나라는 작지만 남과 북으로 나누어져 있어도 고난과 고총을 이기면서 지금까지 세계적 기업으로 우리 한국의 기업들이 우뚝 설 수 있는 것도 모두다 노동자들의 힘이다. 그걸 누가 모르는가? 하지만 지금 시대는 서로 힘을 모으며 노력하지 않으면 기업도 노동자도 안되는 사회다.
우리 사회가 일과 일터에 대한 개념과 가치관이 송두리째 전복되는 시기로 일의 의미와 가치를 되새긴 건 뜻밖에도 사양산업에서 치열하게 일하는 사람들이다. 이제 우리가 후회하면 무엇하나 이미 시간은 우리를 붙잡아 주지 않는다. 결국, 기업이 망하면 노동자들의 일자리는 당연히 없어진다. 이것은 누구의 책임인가? 우리 모두가 고민해야 한다.
세상에 큰 변화를 헤쳐나가려면 나를 나답게 만들어 주는 것은 무엇인가? 를 생각하라. 불평과 불만은 나를 망가뜨린다. 특히 직장 생활에서 불만은 생산성을 떨치는데 나로 인하여 주변 사람들까지 오염시키는 꼴이다. 그러다 보면 즐거움 속에서 일을 하겠는가? 매사 불평불만도 습관이 된다.
직장에서 열심히 일하는 사람은 미래가 보이기 때문에 불평불만 보다는 희망만 보인다. 이것이 생산성을 높이는 결과이다. 그러다 보면 무엇이든 자신감 있게 도전하는 직장 문화가 폭넓게 발전하여 기업의 발전을 돕는다. 그렇다면 개인 사업자들도 마찬가지도 자신이 건전한 마음으로 올바르게 간다면 노력한 만큼 발전한다.
인간은 누구나 무슨 일을 하던 즐거운 마음으로 하는 사람과 불만에 쌓여서 일하는 사람과는 차이가 난다. 직장과 일은 누구나 해야 하는 것인데도, 사람에 따라서 달라지는 건 그 사람의 마음가짐이다. 직장과 일은 나다운 삶을 살아가는데, 대체 될 수 없는 행로에서 일은 일한 만큼 그 대가를 받아서 누구나 행복을 찾아 누리기를 바라면서 열심히 하는 노동이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