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
갈수록 서민들이 살기에는 어려운 경제적인 형편이 자녀들을 많이 낳아 기르기에는 상당히 어려운 현실이다. 모든 물가와 돈벌이를 생각하면 과연 자식을 많이 낳아서 노후에 무슨 호강을 한다고 결혼 사회문화가 그 뒷받침으로 자녀를 낳지 않는 평으로 가고 있는 우리 사회다.
이기주의적으로 자신들의 우선 입장만 생각하지 미래나 국가를 생각하는 마음은 한계가 있다. 그렇다면 정부가 나서서 우리 젊은 청춘들의 결혼 문제와 자녀를 많이 낳는 문제에 대해서는 고민해 보았는가? 어느 정치인도 정부의 관료도 그 문제에 대해서는 제대로 고민한 것을 보지 못했다. 우선 말로만 순간적인 모면을 위해서 그 자리를 지킬 쁀이지, 나라의 운명인 다자녀를 낳으면 나라가 나서서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고민해야 한다.
정부는 미래를 위한 비전 제시로 정책을 마련하여 국민과 함께 고민하며 노력해야 하는데, 과연 우리 정부가 그러고 있는가? 의심스럽다. 말로만 자녀를 많이 낳아달라고 하는 시대는 이미 물 건너 간 시대다. 자녀를 많이 낳아도 정부가 그 혜택을 돌려주며 함께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안제시를 내놓아야 한다.
가장 중요한 다자녀 가정이 자녀를 키우는데 부담을 주지 않고 국가가 길러 드리겠다는 약속으로 낳아만 주세요. 하는 정책이 나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누가 믿고 다자녀를 낳겠는가?
그리고 정부는 입법으로 여성의 인권과 직장 생활에서 자녀를 낳아 기르는데 눈치 보고 부담을 주지 않는 정책이 미래 나라를 위한 법으로 여성 누구나 보장받도록 해주어야 한다. 이것만이 여성들의 생각의 발상을 생활 문화적으로 정부가 앞장서서 나아가야 한다.
과거 우리나라가 아들딸 둘만 낳아 잘기르자고 할때가 있듯이 이제는 다자녀를 낳으면 국가를 위한 애국자이며 그 댓가로 얘우를 받는다는 것을 우리 생활 문화적으로 해야 한다. 머릿속에 이미 잠제 되어 있는 의식구조를 바꾸려면 정부의 결단력이 크게 필요할 때이다.
우리 문화가 애완견 강아지를 사랑하고 집안에 키우는 것도 자녀를 키우는 문화로 바꾸어 나가야 한다. 그렇지 않고는 다자녀를 낳아 기르기가 한순간에 쉽지 않다. 의식 구조는 우리 모두가 커피 문화처럼 가정 문화생활이 바꾸어 나가야 한다. 사랑은 많이 하면서 자녀는 낳지 않으려고 하는 것은 우리 삶의 경제적 어려움이 크기 때문에 더 그렇다.
이제 우리 정부가 과감하게 가정문화를 바꾸어 나가는데 국민 모두가 함께 노력하며, 잘사는 대한민국을 만드는데, 여성의 힘이 필요한 시기이다. 물론 가정을 꾸리는데도 정부는 관심을 가지고 청춘들의 결혼도 이제 신경을 써서 도움을 주면서 행복한 가정을 이루면 다자녀를 낳아서 국가가 필요로한 인재들을 길러내는 것도 정부가 앞장 서야 한다. 정부와 정치인들이 하나로 뭉쳐서 다자녀 가정을 만드는데 우리 모두가 노력해야 할 것이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