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
이런 것이 음성화된 책값인 돈 봉투다. 실질적으로 책값이야 한 1만원 내지 2만원 정도면 살 수 있는데, 정치인들의 출판기념회에서는 이보다 많은 금액을 내는 게 심지어 관례로 되어 있다. 그래서 지지자들을 모아서 하는 이유이다. 그곳에 초대된 공무원과 기업인들은 봉투에 얼마를 넣어야 할지 고민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순수하게 책값만 내고 참석하는 사람들은 얼마나 될까 누구 하나 묻지도 않는다. 이런 방법으로 정치인들의 출판기념회가 참석자 대다수가 책정가보다 몇 배나 많은 금액을 지불하고 일부는 기업인들이 참석은 안 하고서도 사전에 책값을 많이 내고 자신의 명함 값을 하려고 구입한 것으로 알고 있다. 이것이 우리 정치인들의 행패다.
이러면서도 국회의원 누구 하나 소신 있게 반성하는 의미로 정치인 출판기념회에 대해서 문제점을 제시한 의원은 한 사람도 없다. 그것이 오히려 법을 무시하면서 투명성 없이 기금을 만드는 방법으로 이용되어 온 것이다. 그런데도 누구 하나 이것을 말하지 않는 것이 대한민국이다. 이래도 되는가?
우리 국민들은 그래도 선거에서 선출된 국회의원이라고 믿고 지지하는데 정치인들은 국민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이익을 노리는 기만술을 부리는 호기의 출판기념회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 정치인들의 출판기념회에 거액을 제공한 사람은 그 순간 정치인과 암묵적 거래 관계가 형성되어 언젠가는 대가를 필요로 요구하게 되어 있다. 그러다 보면 결국 사회적 비리로 연결되어 총체적 문제로 발전하여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것들이 남의 일이 아니고 우리 일이다. 결국에는 정치인들의 기만술에 국민들이 피해자가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국민들의 요구에 따라서 정치인들이 발목을 잡혀서 끌려가는 입법이 될 수도 있다. 그래서 정치인들은 비리가 있어서는 안된다. 만약 정치인이 비리가 있다면 다시는 정치를 못 하도록 국민들이 앞장서야 한다.
부정과 비리는 우리 사회가 그냥 별것 아닌 것처럼 지나가면 더 큰 도둑을 키우는 것이다. 특히 정치인들은 돈의 노예가 되어서는 안 된다. 당당하고 소신 있게 일을 하려면 투명하게 움직여라. 그렇다면 문제를 피해갈 수 있다.
국회에서 출판기념회를 입법화 시키던가? 출판기념회에서는 누구나 책값 이외에는 돈을 일절 받지 않는다고 써 붙이고 감시인(감시기구)을 두고 하던가? 그러면 참석자들도 거래 없이 누구나 거기에 순응하여 지켜나간다.
모든 정치인은 자신이 발로 뛰어야 한다. 자신이 직접 보고 느껴야 문제점을 파악하고 제대로 되는 입법도 추진할 수 있다. 그런데 과연 우리나라 국회의원들이 그런가? 선거가 끝나고 당선되면 지역구에서는 다음 선거가 있기 전에는 얼굴 보기도 힘든 세상이다. 이것이 대한민국 국회의원의 실상이다. 그러니 지역구를 어떻게 알고 제대로 지역을 위해서 무슨 일을 하겠는가? 묻고 싶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