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자료제공=민생경제정책연구소 |
올해 ‘주택용’ 도시가스 요금은 1월, 3월, 5월 세 차례에 걸쳐 각각 5.8%, 8.7%, 8.4% 인하되었다. 지난해 연말 대비 21% 인하된 수준이다. 이마저도 1월을 제외하면 난방이 줄어드는 봄철에 요금을 내려 서민들이 실질적인 요금인하 혜택을 누리지 못했다. 더욱이 9월에는 가스요금이 다시 인상되면서 올해 요금인하 폭은 작년 말 대비 18.6% 인하에 그쳤다.
작년 하반기부터 올해까지 유가변동을 살펴보면 그동안 가스요금 부과에 일관성이 없었던 것이 명확히 드러난다. 소폭의 유가상승 분은 가스요금 인상으로 ‘즉각’ 반영되었지만, 큰 폭의 유가하락에 대한 가스요금 인하는 ‘제때에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작년 6월 국제유가가 109달러에서 올 1월 45달러 수준으로 60%까지 하락(그래프 ①부분)한 것도 가스요금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 여기에다 올 하반기 유가하락(그래프 ③부분)분도 가스요금 변경이 가능한 11월에 반영되지 않았다.
유가하락 분을 제대로 반영하면 작년과 비교하여 도시가스 요금은 최소한 ‘반값’이 되어야 한다. 올 겨울 ‘주택용’ 도시가스 요금이라도 반값으로 내려 서민들의 난방비 부담을 덜어 주어야 할 것이다. 가스공사가 고질적인 누적적자를 가스요금 인상으로 해소하려는 구태(舊態)에서 벗어나면 ‘반값’ 도시가스 요금은 충분히 가능하다. 더 추워지기 전에 도시가스 요금인하를 하루빨리 추진해주길 바란다.
=본 논평의 내용은 로컬세계의 편집방향과 무관합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