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설용수 이사장. |
고구려는 삼국시대에 삼국 중 가장 강성했던 나라로 자국을 침략한 수(隋)와 당(唐)을 물리치고 요동벌을 지켰던 동아시아 최강국이었다.
중국 사학자들의 주장대로 고구려가 중국의 지방정부였다면 모국에 대항키 위해 천리장성을 쌓았을 리가 있겠는가. 중국 문헌에서는 지방정부가 중앙정부에 대항해 성 쌓는 것을 저지했다는 기록을 찾아볼 수 없다.
당나라는 수나라를 제패한 후 고구려와 국교 정상화를 위해 공을 들였던 바 그 노력의 증거가 <구당서(舊唐書)>권 199 상 149 ‘고려’에 나타나 있으니, 내용인즉 고구려에 보낸 당의 국가 공식문서에 ‘두 나라의 평화(二國通和)’를 강조한 것이다.
그뿐만이 아니다. 중국의 정사(正史)인 <사기(史記)>와 <한서(漢書)>에도 별도로 <조선전(朝鮮傳)>이 있고 <당서(唐書)>에도 동방의 이웃 나라들을 설명하면서 고구려와 백제와 신라, 그리고 일본과 오키나와를 기록해 놓았다. 고구려가 중국의 지방정부라는 기록은 어느 곳에도 없는 것이다.
오히려 중국의 문헌인 <북사(北史)>, <수서(隋書)>, <당서(唐書)>에는 고구려는 백제·신라와 음식·풍속·예절 등이 같다고 기록돼 있다. 또 ‘집안(集安)의 장천 1호분의 기린도(천마도)가 경주 천마총의 천마도와 같다.’는 기록이 있다. 이런 증거들은 고구려가 신라와 같은 문화권이라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문헌 중 사대주의적 입장에서 기록됐다고 평가되는 <삼국사기(三國史記)>에도 고구려·백제·신라는 단군조선으로부터 갈라져 나온 국가이며 고구려의 후예인 왕건이 후삼국을 다시 합쳐 통일국가 고려를 세웠다고 돼 있다.
이런 역사적 기록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중국은 고구려가 장춘의 길림지방에서 출발해 집안에 도읍했던 중국의 지방정부라고 주장하고 있다. 동북공정은 한마디로 그릇된 중화사상에 물든 중국 지도자들의 야욕의 산물인 것이다.
어느 나라든지 자기 나라 중심의 역사를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역사적 사실을 외면하고 허구를 진실인양 오도해 제국주의를 재현하려는 음모는 21세기 정보화.세계화시대에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역사를 왜곡한다고 해서 역사의 진실조차 바뀌지는 않는다. 다른 나라에 대한 역사를 서술할 때는 문헌을 중심으로 객관적인 분석과 해설이 따라야 하며, 자기 나라를 배려하듯 상대방 국가도 배려할 줄 아는 자세가 필요한 것이다.
중국이 최근 자기 나라는 만국의 중심, 천하의 중앙으로서 주변 국가들은 자국과 정치적 신속(臣屬)관계였고 자국의 황제는 천하의 황제로 군림했다며 주변 국가들의 역사를 자국 중심의 역사로 왜곡 서술한 것은 우리 한국이 두렵기 때문이다.
즉 연변조선족자치주를 한국으로부터 차단해 한국이 조선족자치주를 김정일 정권을 무너뜨리기 위한 교두보로 활용하지 못하게 하고, 남북한의 통일 이후 통일 한국으로 흡수될 것을 염려한 포석인 것이다.
만약 조선족자치주가 통일 한국으로 흡수된다면 중국의 55개 소수민족, 특히 티베트족과 위구르족 등이 독립을 요구할 것이고, 그렇게 되면 걷잡을 수 없는 사태가 벌어져 결국 중국도 소련처럼 해체돼 다민족국가로 분열될 수 있다는 염려를 떨칠 수 없다.
또 다른 속셈은 만일 북한의 김정일 권력집단이 해체될 경우 미군이 북한에 진격해 들어올 때 중국과의 국경선인 압록강과 두만강까지 올라오지 못하도록 대동강을 경계로 차단하려는 속셈이 있다고 보아야 한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