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
우리가 뒤돌아보면 언제부터 일회용품 쓰고 살았는가? 사실상 현대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변화가 너무 지나치게 편리성으로 가다 보니 어느새 유행처럼 변하여 왔다. 그러나 일회용은 대부분 위생적으로도 좋지만은 않다. 다만 한번 사용하고 쉽게 버린다는 것이 장점이나 생각하면 그렇지만은 않다. 쓰레기 문제도 심각하다. 그 처리 비용까지 생각하면 더 복잡해진다.
우리의 생활문화는 한순간에 변하여 간다. TV에서 광고를하면 너도나도 유행처럼 변해가는 것이 현대사회다. 왜 그런가? 들여다 보면 우습게도 나도 현대사회의 주인공이란 것을 암시하듯이 따라가는 것이 우리 사회다.
이 모든 것들이 사실상 일회용품들은 비위생적인 것들이 많다. 순간적으로 사용의 편리함은 있으나 뜨거운 음식물을 비닐봉지에 넣어서 가지고 가서 먹는다면 비닐에서 나오는 나쁜 성분이 과연 좋을까? 의심의 여지가 많다.
마트나 상점에서 사용하는 비닐봉지 사용도 마찬가지다. 자신들이 시장바구니를 가지고 다니면서 물건을 사는 것은 오히려 쓰레시 문제까지도 주리고 사용자는 언제나 장바구니 하나만 가져가서 물건을 사면 오히려 여러 가지 면에서 좋은 점도 많다.
이런 일 들은 하나에 시장 보기 문화다. 어느 누구나 일회용품 사용금지로 문화가 바뀌고 익숙해지면 오히려 좋은 일도 많아져 불필요한 쓰레기는 집으로 가져가지 않고 판매처에서 간편하게 물건을 챙길 수 있을 것이다.
시장을 보는데 무게가 많이 나가는 물건을 필요로 시장을 볼 때는 처음부터 쉽게 끌고 가는 손수레 장바구니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렇게 시장 문화가 바뀌면 환경도 좋아지고 쓰레기 문제도 줄이고 건강에도 좋은 방법이기 때문에 정부는 홍보를 통해서 우리의 의식 구조 문화를 지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인간의 삶은 생활의 변화 속에서 모든 것이 바뀌고 산다. 없으면 없는 데로 살고 건강에 나쁘다면 일회용품 사용은 자제할 수밖에 없다. 잘못된 것은 정부가 앞장서서 개선해 나가야 한다. 정부가 무관심으로 간다면 국민들은 일회용품 사용은 그런 것인가로 생각하며 자신도 모르게 사용하며 살아간다.
이것이 우리의 생활문화다. 어려서부터 작은 것이라도 환경과 건강을 생각한다면 하루빨리 고칠 것은 고치면서 살아야 한다. 자라나는 어린이들은 어른들을 따라서 살아간다. 그래서 하루빨리 일회용품은 사용을 금지 시켜야 할 것이다.
그리고 식당에서 일회용 종이컵 사용도 금지 시켜야 한다. 종이컵에 뜨거운 커피를 마시는 것도 아주 나쁘다. 그 종이컵에서 나오는 나쁜 이물질들이 몸에 좋지않는 성분들이 대량으로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국민 건강을 생각한다면 종이컵 사용은 정부가 앞장서서 규제해야 한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