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영호 월평공원 공론화위원장(왼쪽에서 두번째)이 허태정 대전시장(가운데)에게 권고안을 전달하며 관계자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대전시 제공) |
앞서 위원해는 대전시를 대표하는 시민참여단 159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 조사를 거쳐 의견을 조사했다. 이 과정에서 월평공원(갈마지구) 조성과 관련한 민간특례사업에 대한 시민참여단의 의견은 ‘반대’ 60.4%와 ‘찬성’37.7%로 나타났다.
민간특례사업 반대 이유로는 ‘생태계, 숲 등 자연환경 보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65.5%로 가장 컸으며 찬성 측에는 ‘대전시의 재정 부담이 큰데 이는 대전 시민 전체의 부담(33.3%)’이라는 의견이 우선시 됐다.
![]() |
▲김영호 월평공원 공론화위원장이 월평공원 공론화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
도시공원위원회에서 의결한 월평공원 민간특례사업에 대해서는 ‘민간특례방식을 제외하고, 다른 방식으로 공원을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48.4%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이어 ‘민간특례사업으로 추진하되 일부 수정하여 공원을 조성해야 한다(38.4%)’, ‘민간특례사업을 원안대로 추진해야 한다(8.8%)’, ‘도시공원 일몰제에 따라 공원을 해제해야 한다(2.5%)’는 의견 순이었다.
더불어 월평공원 조성을 민간특례사업으로 추진하지 않을 때의 보완사항으로 ‘공원의 사유지를 대전시가 장기임대하거나 재산세 감면 혜택 등으로 공원 유지(53.5%)’와 ‘대전시 예산(지방채 포함)으로 공원 내 사유지의 매입 및 공원조성(45.9%)’에 대한 의견도 비중있게 나타났다.
이밖에 월평공원을 ‘자연생태와 편의시설이 같이 있는 도시공원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83.0%, 자연생태와 편의시설이 같이 있는 도시공원으로 조성’ 또한 83.0%로 높게 나타났다.
![]() |
▲김영호 월평공원 공론화위원장이 월평공원 공론화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
이러한 응답조사를 종합해 위원회는 최종 결과를 도출해 지난 5개월간의 공론화 과정을 마무리하고 권고안을 시에 제출했다.
김영호 월평공원 공론화위원장은 “대전시가 중요한 현안이나 정책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쟁점이 예상되거나 이해가 첨예한 경우 시민의 뜻을 존중하고 의견을 모으는 절차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공론화에 참여한 시민참여단의 88.1%는 최종 결과가 비록 자신의 의견과 다르더라도 이를 존중하겠다고 했으며, 공론화 과정 전반에 대해서도 96.2%가 만족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