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이서은 기자] 국민안전처는 한국형 긴급 신고전화 통합 구축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 수립에 착수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112, 119, 122(해양사고), 117(학교폭력), 118(사이버테러) 등 기존 20개의 신고전화를 112, 119, 110 3개로 통합하기 위한 첫 단계로 지난 1월 안전정책조정회의에서 최종 결정한 ‘긴급 신고전화 통합방안’에 따라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안전처는 정보화전략계획 수립을 통해 신고접수체계 개선방안과 기관 간 연계방안 등을 포함한 최적의 통합 방안을 도출해 긴급 신고전화 통합 구축 세부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긴급 신고전화 통합방안의 운영방식 및 특징은 기존 119, 112, 122 및 기타 긴급 신고전화를 119(재난), 112(범죄)로 이원화해 모든 긴급 상황을 처리하게 된다.
또한 분야별 소관기관 접수·처리로 기존의 장점인 신속성과 전문성을 유지하고 그동안 전화로만 정보를 공유했던 문제(신고내용 반복설명 등)를 보완해 119-112 연계를 통해 실시간 정보공유·연계성을 강화한다.
아울러 긴급 전화로부터 분리한 비긴급 민원·상담전화를 110(정부민원대표전화)으로 별도 분리해 국민의 생명과 관련된 긴급 상황에 집중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
긴급 신고전화 통합 합동추진단 정안식 단장은 “국민의 편리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급박한 상황에서 112나 119로 신고한 내용은 새롭게 도입되는 112-119 연계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 반복신고 없이 소관기관이 즉시 출동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