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
이것이 대한민국의 정치다. 말도 안 되는 정치판의 움직임을 보면서 국민은 분노한다. 그러면서도 총선이 다가오면 기존 기득권 정치인들의 선거 운동에 속아 넘어가는 것이 문제다. 선거가 끝나면 한번도 제대로 지역구를 챙기지도 않던 국회의원들이 수시로 지역구를 돌면서 깜짝쇼를 벌이듯이 움직이며 주민들을 접촉 한다.
그동안 4년 동안 얼굴 보기도 힘들었는데, 선거가 다가오면 유권자들에게 자신의 얼굴을 알리려고 돌아다닌다. 이것이 우리 한국 민주 정치인가? 일하는 국회가 아니고 자신의 출세를 위한 국회인가? 지역의 문제점도 하나도 모르고 지내오면서 이제 다시 당선되면 자신이 일을 다 하겠다고 말로는 그럴싸하게 유권자들에게 접근한다.
우리 국민은 그동안 너무 많이 정치인들에게 속았다. 그래서 이번에는 절대로 그 사람들의 말장난에 속아서는 안 된다. 그것은 도둑을 다시 도둑질하도록 도와주는 격이다. 문제는 간단하다. 그동안 우리 정치가 양당체제로만 가다 보니 중앙당에서도 공천가지고 후보도 장난치는 정치판이다.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후보를 공천하는 것은 유권자들을 속이는 것이다.
그 지역 후보는 신선한 인물로 지역에서 봉사 활동도 많이 하고 지역을 위해서 정의로운 목소리를 낼 줄 아는 후보가 당선되어야 그 지역이 주민과 함께 발전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또 경력이 많은 후보는 좋은 것보다는 자신의 이득만을 챙기려는 후보다.
우리 정치판은 국회의원도 3선 이상 못하도록 정해야 한다. 왜 그런가? 한번 생각해 보라, 국민과 국가를 위해서 헌신하는 정신보다는 자신의 출세를 위해서 권세를 노리는 후보들이다. 그러다 보니 우리 국민들은 선거가 끝나면 국회를 바라보고 사기꾼이라는 노골적 표현도 한다. 과연 그렇다고 뭐가 달라지는가?
진정하게 심판을 하는 것은 유권자들의 몫이다. 각 정당들이 엉터리 후보를 공천하면 유권자들이 선출로 당선을 안 시키면 된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엉터리 후보라도 1번 아니면 2번 후보를 찍는 잘못된 선거 문화가 문제다.
그러기 때문에 각 정당들이 그걸 이용한다. 내년 총선에서는 수준 높은 유권자들의 선출을 이제는 선거의 변화 속에서 정당지지보다는 어느 정당을 떠나서 그 지역에 신선하고 일 할 수 있는 제대로 된 인물을 선출해 내야 한다.
그것이 우리 국민이 원하는 선거문화다. 그래야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서 정치도 선진 정치가 될 수 있다. 그동안 우리 정치는 패거리 정치로 각 정당들의 정치 횡포에 불가하다. 이런 것을 보면서도 우리 유권자들이 변하지 않는다면 우리나라의 정치는 희망이 없다. 이것을 바라는가?
우리 정치의 발전을 원한다면 그 지역에서 제대로 된 신선하고 정의롭게 일 할 수 있는 인물을 당선시켜야 한다. 그동안 다선 의원들의 정치를 우린 보아왔다. 실망이 너무 크다. 그래서 이번 총선에서는 누구나 나라를 위하는 진정한 국민으로서 국회의원들을 그 지역에 제대로 된 인물을 선출하여 나라 발전에 이바지하는 선거가 되었으면 한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