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듀오피부과 홍남수원장(전문의, 의학박사) |
피부 만성질환 중 하나인 지루성 피부염은 완치가 어렵고 행동습관과 생활환경, 기후변화 등의 환경적인 요인으로 증상의 좋고 나쁨이 변화가 심한 것이 특징인 피부질환이다. 3개월 미만의 영아나 40대에서 70세 사이의 남성에게서 주로 발병하고, 붉은 반점 위에 노란색 인설이 덮여 있는 모습으로 나타나며 건선과 유사하지만 육안으로 감별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피지분비량이 많고 얼굴이 항상 번들거리는 사람들이 발생할 확률이 높고, 피지선이 발달하고 피지분비량이 많은 두피, 얼굴, 겨드랑이, 앞가슴 부위 등에서 주로 발생하게 된다.
지루성피부염은 전문의 진료 후 처방에 의한 치료를 받을 경우 증상이 빨리 좋아지지만 생활습관이 잘못되어 있을 경우 증상이 다시 악화될 수 있어 생활습관과 자기관리가 중요한 피부질환이다. 피지분비와 많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발명원인도 불분명한 것이 지루성 피부염이다.
지루성 피부염이 두피에 발생한 경우 비듬이 생기고 머리카락이 기름져 보이는 등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심한 경우 탈모를 유발할 수 있어 빨리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전문의 진료 후 처방에 의한 전용 샴푸로 머리를 감고, 스테로이드 로션 또는 용액을 사용하면 좋다. 만약, 세균 감염과 지루성 두피가 같이 있는 경우는 항생제를 포함한 스테로이드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스테로이드 제품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 후에 처방에 따라 사용해야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듀오피부과 홍남수 원장은 “지루성피부염은 피부과 전문의 처방에 따라 치료를 받은 경우 증세가 바로 좋아진다. 그러나,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평소 생활습관을 잘 가지는 것이 지루성피부염 예방에도 좋으며 완치 보다는 재발이 되지 않도록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평소 생활관리를 잘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루성피부염 치료 후에는 사우나 찜질방과 같은 온도가 높은 환경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두피에 지속적인 자극을 주는 행동은 안 하는 것이 좋다. 술, 담배, 커피 등의 기호 식품은 피하고, 기름기가 많은 음식, 특히 트랜스지방이 많은 제품은 피하고 지방질보다는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주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지루성피부염은 평소 청결을 유지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증세를 악화시키지 않는 방법으로 외출하고 돌아오면 외부에 묻은 이물질을 세안 및 샤워 등을 통해 깨끗하게 제거해 줘야 한다. 두피의 경우 자주 머리를 감을 경우 모발이 뻣뻣하게 느껴질 수 있으므로 하루에 1회씩 감고 충분한 시간을 두고 자연 건조 시키는 것이 지루성피부염을 예방하는 한 방법이다. [로컬세계 조원익 기자]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