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
물론 그렇다. 결혼은 당사자들의 문제이지만 가정을 꾸리고 살다보면 가족이 생기고 늘어나면서 여러 가지 문제점도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상대를 배려하고 이해하면 아무것도 아닌데 화를 자초하는 성격 탓으로 문제를 키우는 것이 문제다.
우리가 처음 직장생활 하면서 여러 가지 문제점도 돌출되나 터득하고 배우면서 가는 것이 현명하다. 그런데 그걸 못 참고 이유를 자꾸 만들다 보면 매사가 불만으로 이어진다. 그러다 보면 즐거운 직장생활 문화가 이어지겠는가? 혼자만의 괴로움으로 즐겁지 않는 생활이 될수 밖에 없다.
특히 결혼 생활은 당사자 간의 사랑도 양가 가족 간의 문제로 서로 눈치 보며 멀어질 수도 있다. 그러다 보면 결혼 생활이 즐겁고 행복 하겠는가?
과거 결혼 생활은 참고 견디며 사는 인생이었다면 요즘 젊은이들은 자신의 주장이 너무 강하여 상대를 무시하며 마구 대하는 결혼 생활은 행복할 수가 없다. 나보다는 상대의 입장을 먼저 생각하며 대화하는 모습으로 바꾼다면 이해와 배려의 폭이 커서 주로 다툴일이 없어진다.
물론 모든 것이 그렇게 완벽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살다 보면 어찌 서로 의견 충돌이 없겠는가? 그러나 그 의견 충돌을 일어나지 않게 지혜롭게 만드는 것도 사랑이다. 자신의 성격만 고집하면서 일을 크게 만들면 결국에는 그 끝이 어디인가?
우리 사회가 황혼이혼이 늘어나는 것은 사회 구조상의 문제도 있다. 이제 자식들 다 키우고 결혼시켰으니 나도 자유롭게 살고 싶다는 생각도 돌이켜 보면 남녀의 성비에서 가부장제의 역할이 너무 커서 그동안 숨죽이며 살아온 여성 세대들의 반란인지도 모른다.
지금 황혼이혼이 늘어나는 것은 우리 사회가 잘 못가고 있다. 오히려 복지적 차원에서도 노년에는 대화와 사랑이 있는 삶이 그리운데 거꾸로 외로운 생활로 이어지는 것은 정부 정책도 문제가 있다. 그러다 보니 우리 사회가 노년에 나홀로 세대가 많다. 이것이 바람직한 사회인가? 국민 복지와 건강 차원에서도 오히려 노년에는 친구와 이성 친구들이 어울리는 사회가 건강한 사회가 된다.
대부분 중년 이혼녀의 상황은 남편의 부당대우와 성격 차이, 갱년기, 대화 단절, 퇴직으로 경제력 등이 문제가 되어 중년들의 이혼은 이유가 된다. 하지만 그런 경험을 다 딛고 살아온 황혼의 인생이 무얼 바라고 이혼을 결심하는가? 묻고 싶다. 오히려 노년에는 친구를 만나고 노부부가 더 다정하게 오손도손 함께 살아가야 하는 것이 우리의 인생인데 오히려 자식들 다 키우고 고생을 벗어나려는 황혼의 세대들이 이혼을 생각한다면 분명 우리 사회가 문제가 있다.
인생이 살다 보면 다 만족하게 살았다고 얘기하기에는 쉽지 않다. 하지만 돌아보면 아쉬움은 추억으로 남을 수 있다. 수십 년을 함께 살아온 황혼들이 이혼을 생각하는 우리 사회문화는 정부도 관심 정책으로 이끌어서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우리 사회의 분위기가 더 황혼이혼을 부추기는 꼴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누구나 노년은 오히려 함께 더불어 사는 문화가 노년들에게는 즐겁고 건강할 수도 있다. 우리 사회 건전 사회문화는 정부의 정책으로 방향을 이끌어 주어야 한다. 방치는 더 큰 가정 문화를 파괴시킬 수도 있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