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시 행주대첩 승리 결정적 기여

[로컬세계 = 이남규 기자] 전라도 장성군이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발명가인 망암(望巖) 변이중(卞以中·1546~1611) 선생을 ‘10월의 장성 역사인물’로 선정했다.
장성읍 장안리 봉암마을 출신인 변이중 선생은 1568년(선조 1년) 과거에 급제해 관직에 진출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도 소모사로 임명돼 의병과 관군을 규합하고, 이듬해 약 6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죽산 전투에 참전했다.
당시 그는 일본군의 조총에 맞서기 위해 사재를 들여 ‘화차(火車)’를 제작했다. 이는 문종 대에 처음 개발된 화차를 개량한 것으로, 40정의 승자총통을 동시에 발사할 수 있는 이동식 다연장 무기였다. 수레 형태의 본체에 방호판을 설치해 병사가 내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점이 특징이다.
전투 현장에서 위력을 입증한 변이중의 화차는 이후 약 300여 대가 제작됐으며, 이 가운데 40대가 행주산성 전투(1593년)에 투입돼 적은 병력으로 수만 명의 왜군을 물리친 행주대첩 승리의 결정적 요인이 됐다.
변이중 선생은 실천적 유학을 바탕으로 학문과 과학기술, 군사 전략을 결합한 대표적 지식인으로 평가된다. 저서로는 '망암집(望巖集)'이 전하며, 현재 장성 봉암서원과 경기도 고양시 행주서원에 제향돼 있다.
장성군은 지난 8월 봉암서원 내 시징당을 철거하고, 변이중 선생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화차 체험장’ 건립 사업에 착수했다.
김한종 장성군수는 “전란 속에서도 실천적 학문과 과학기술로 나라를 지켜낸 망암 변이중 선생의 정신을 널리 알리고, 이를 지역의 역사·문화 자산으로 계승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로컬세계 / 이남규 기자 diskarb@hanmail.net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